무리한 규제 입법은 기업활동만 옥죄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들의 편익마저 감축시키는 부작용이 있다. 실상을 고려하지 않은 채 정치논리에 따라 만들어진 대표적인 법이 카페에서 빨대와 종이컵 사용을 금지한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이다. 환경보호를 명분으로 2021년 만들어진 이 법은 ‘식품 접객업 및 대규모 점포 등을 운영하는 사업자는 일회용품의
실상을 고려하지 않은 채 정치논리에 따라 만들어진 대표적인 법이 카페에서 빨대와 종이컵 사용을 금지한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이다. 환경보호를 명분으로 2021년 만들어진 이 법은 ‘식품 접객업 및 대규모 점포 등을 운영하는 사업자는 일회용품의 사용을 억제하고 무상 제공하면 안 된다. 이를 어길 경우 사업자에게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타다’를 막으려고 개정한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은 국내에서 승차공유 서비스를 가로막았다. 피해를 입은 것은 타다 운영자 뿐만 아니라 모든 소비자들이 누릴 수 있었던 편익을 제한받게 됐다. 뒤늦게 ‘플랫폼운송업’ 관련 규정을 신설해 보완을 시도했지만 승인 조건이 까다로워 4년이 지난 현재까지 4곳 신규사업자만 진입하는 데 그쳤다. 오히려 플랫폼을 통한 개인 승차공유 서비스를 막으면서 세계적으로 일상이 된 우버 서비스를 한국에서는 이용할 수 없다. 공유숙박업 분야도 규제가 산업 발전과 소비자 편익을 가로막는 사례로 꼽힌다. 현행 관광진흥법에 따르면 국내 공유숙박은 외국인만을 대상으로 영업을 허용하고 있다. 또 집주인의 실거주 의무를 비롯해 오피스텔은 공유숙박 주택 유형으로 허용하지 않는 등 제약이 많다. 지난 2020년 규제샌드박스 실증특례를 통해 내국인을 대상으로 한 영업이 일부 허용됐지만 공급물량이 4000개로 적고, 영업일수도 연 180일로 묶여 있다. 미등록 업체의 난립과 불법 영업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환경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단독] “갓뚜기 아니라 꼴뚜기네”…오뚜기·농심, 미끼 쿠폰 줬다 뺐기에 부글부글오뚜기·농심, 네이버 브랜드스토어서 라면·즉석밥 등 50% 이상 할인 미끼로 ‘알림받기’ 유도한 뒤 구매 강제취소 정확한 취소 이유 설명·사과문도 없어 구매취소 중에도 판매 계속, 소비자 혼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80억 투입한 '한강 마리나'…운영사 못찾아 석달째 방치난지한강공원 '서울수상레포츠센터' 가보니입구부터 출입금지 테이프요트 4대·보트 1대 덩그러니운영권 단독입찰 나선 사업자막판에 사용료 못내 결국 취소재공고 냈지만 입찰자 없어'왜 개관 안 하나' 민원 빗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세금 180억이 물에 떠있네”…한강에 석 달째 방치된 이 건물, 정체가난지한강공원 ‘서울수상레포츠센터’ 가보니 입구부터 출입금지 테이프 요트 4대·보트 1대 덩그러니 운영권 단독입찰 나선 사업자 막판에 사용료 못내 결국 취소 재공고 냈지만 입찰자 없어 “왜 개관 안 하나” 민원 빗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우간다·탄자니아서도 즐겨타는 우버X … 韓은 여전히 '그림의 떡'현실무시 입법에 소비자 분통카페 내 종이컵 금지 사문화공유숙박 제한에 불법 난립명분만 앞세운 부작용 커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소비자원 '추석연휴 항공권 위약금·택배 파손 등 피해 주의'(서울=연합뉴스) 강애란 기자=한국소비자원과 공정거래위원회는 추석 연휴 항공권과 택배와 관련한 소비자 피해주의보를 10일 발령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성소수자는 우리 아파트서 같이 못살아요”…반려동물과 같은 취급해 ‘발칵’日후쿠오카 부동산 회사 입주자 모집조건에 ‘LGBT 불가’게재 동성애男“우릴 반려동물과 동급취급” 분통 논란에 회사측 “시스템 개편상 문제”해명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