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에다 ‘- 금리 해제’ 발언 여파 엔화값 반등 한때 145엔대 하루새 1.8엔 이상 급등 내년초 마이너스 종료 전망도
내년초 마이너스 종료 전망도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의 매파 발언이 도쿄 채권·외환시장을 크게 뒤흔들었다. 11일 일본의 장기금리 지표가 되는 신규발행 10년물 국채 금리는 장중 0.705%까지 치솟으며 지난 2014년 1월 이후 9년 8개월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향후 금리가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에 따라 채권 가격이 급락한 것이다. 일본의 긴축 선회 가능성에 엔화값은 하루새 1.8엔 가량 반등했다.
우에다 총재의 발언 이후 처음으로 열린 시장에서 일본 10년물 국채 금리는 지난 8일 종가 대비 0.055%포인트 올랐다. 이는 일본은행이 장단기 금리조작 정책 일부를 수정한 직후인 지난 7월 31일 이래 가장 큰 폭이다. 단기금리가 상승하면 장기금리 역시 상승하는 구조여서 마이너스 금리가 해제될 경우 장기 채권 금리 역시 뛸수밖에 없다. 일본은행이 디플레이션 타개와 경기 부양을 위해 2016년 이후 7년 넘게 마이너스 금리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일본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년 4개월째 목표치인 2%를 넘어서고 있다. 우에다 총재는 요미우리에 “마이너스 금리 종식 여부 결정을 위해 연말까지 충분한 정보와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우에다 총재는 공식적으로는 물가 목표 실현까지 아직 거리가 있어 금융 완화 정책을 계속한다는 입장을 피력하고 있다.
투자자 등 시장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일본 금융정보업체 QUICK이 지난달 실시한 조사에서 일본은행이 추후 정책을 변경할 시기로 내년 춘투 직후인 “4~6월”로 보는 응답이 29%로 가장 많았다. “내년 1~3월”로 보는 응답도 26%나 됐다. 일본은행의 정책 심의위원 중에서 가장 긴축에 우호적인 매파로 분류되는 일본은행 출신 타무라 나오키 위원은 일본은행이 내세운 물가 목표 달성의 성패를 판단하는 시기로 내년 1~3월을 꼽기도 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정부 눈치 살피던 식품사...우유·라면값 ‘꼼수 인상’서울우유 비요뜨 27% 인상 라면 신제품 가격 50% 껑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은 “미 금리 상승, 단기적으론 국내 영향 크지 않아”한은 ‘한‧미 금리 동조화 현황 및 평가’ 보고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예금보다 쏠쏠' 증권사 발행어음 불티특판상품 금리 年5% 수준1년만에 잔액 9조 이상 늘어하루만 돈 맡겨도 이자 수익박스권 증시 대기자금 뭉칫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회사 몰래 받는 ‘제2의 월급’ 달달하네”…직장인 몰리는 ‘이것’미래에셋 연금계좌 분석 3년만에 투자금 3배 껑충 장투·보수 성향 운용 늘어 꾸준한 배당에 인기 상승 年평균 6%대 수익률 기록 MKF배당귀족 올 13% 올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다시 등장한 은행 4% 예금…'레고랜드發' 수신 경쟁 재현되나시중은행에서 연 4%대 예금 상품이 재등장하며 지난해 ‘레고랜드 사태’ 여파에 따른 금융권 ‘수신 경쟁’ 이 재현되는 게 아니냐는 전망이 나온다. 이경록 신영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금리인상 본격화에 레고랜드 사태가 겹치며, 은행 예금 금리가 급등하고 은행 유입액 규모도 크게 늘었다'라며 '이후 1년이 지난 시점에 예금 만기가 대거 도래하며 예금금리 상승이나 은행채 발행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라고 말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수신 금리 상승과 은행채 발행 증가에 따른 은행채 금리 상승은 모두 금융회사 조달 비용 증가로 직결된다'라며 '조달 비용이 늘어나면 대출 금리는 오를 수밖에 없다'라고 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필수시설 '폐기물소각장'에 가려진 사실들[폐기물 처리시설, 이제 노동자 건강을 물을 때] 곽경준 공공운수노조 경기지역지부 화성소각장분회 분회장 인터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