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한 입시학원 대표는 “의대에 가려면 어디로 이사하는 게 유리하냐”는 전화를 자주 받는다. 이미 늘어난 정원을 분석해 강원·충청 등으로의 구체적인 전학과 이사 계획을 세운 학부모들도 있다고 한다. ‘사교육 메카’ 서울 대치동이 아닌 지방으로 유학 가는 시대가 열린 것이다. 27년 만의 의대 정원 확대, 정확히는 의대 지역인재전형 확대가 불러온 ‘신풍속도
요즘 한 입시학원 대표는 “의대에 가려면 어디로 이사하는 게 유리하냐”는 전화를 자주 받는다. 이미 늘어난 정원을 분석해 강원·충청 등으로의 구체적인 전학과 이사 계획을 세운 학부모들도 있다고 한다. ‘사교육 메카’ 서울 대치동이 아닌 지방으로 유학 가는 시대가 열린 것이다. 27년 만의 의대 정원 확대, 정확히는 의대 지역인재전형 확대가 불러온 ‘신풍속도’다.
비수도권 의대 26곳은 2025학년도 모집인원 3111명 가운데 1900여 명을 지역인재전형으로 선발할 계획이라고 한다. 이는 올해 뽑은 지역인재의 두 배에 가깝다. 정부가 의대 정원을 확대하면서 지역인재전형 비율을 60% 이상 선발하도록 권고한 데 따른 것이다. 대치동에 ‘초등 의대반’이 생길 정도로 의대 진학에 목을 매는 한국에서 지역인재전형이 2배로 늘어난 것은 입시 지형을 흔드는 엄청난 변화다. 지금은 해당 지역에서 고교에 재학해야, 2028학년도부터는 중·고교를 6년간 다녀야 지역인재전형에 지원할 수 있다. 그러다 보니 수도권 학부모들이 심각하게 ‘지방 유학’을 저울질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가 지역인재전형을 대거 늘린 것은 만성적으로 의사 부족에 시달리는 지역 의료를 살리기 위해서다. 하지만 지방 유학 문의가 쇄도하는 걸 보면 정부의 이런 선의가 통할지는 미지수다. 지역인재전형은 해당 지역 학생을 뽑아 정착을 유도하려는 제도지만, 지역 복무 의무가 없어 떠나는 이들을 잡을 뾰족한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지방 유학을 온 학생들이 다시 상경하면 지역 의사 부족 현상은 해소될 수 없다. 의대 증원이 서울로 유턴하려는 학생들의 의대 진학 통로로 전락하고 ‘의대 블랙홀’만 심화시켜선 곤란하다. 정부는 장학금과 수련·정주 비용 등을 지원하는 대신 일정 기간 지역에서 근무하도록 하는 ‘계약형 지역필수 의사제’를 도입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자율에 맡길 경우 참여가 저조할 수도 있는 만큼 실효성을 높일 계획을 정교하게 세워야 한다. 그래야 우여곡절 끝에 이룬 의대 정원 확대 취지가 퇴색되지 않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필동정담] 의대 지방유학 - 매일경제요즘 한 입시학원 대표는 '의대에 가려면 어디로 이사하는 게 유리하냐'는 전화를 자주 받는다. 이미 늘어난 정원을 분석해 강원·충청 등으로의 구체적인 전학과 이사 계획을 세운 학부모들도 있다고 한다. '사교육 메카' 서울 대치동이 아닌 지방으로 유학 가는 시대가 열린 것이다. 27년 만의 의대 정원 확대, 정확히는 의대 지역인재전형 확대가 불러온 '신풍속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지방유학’ 시대 열린다…의대 지역인재전형 2000명 육박올 하반기부터 치러질 2025학년도 대입 전형에서 의과대학 지역인재전형 모집인원이 기존의 두 배에 육박하는 1900명으로 늘어난다. 일부 대학의 경우 지역인재전형 선발인원만 100명이 넘고, 지역인재전형 선발 비중이 70∼80%에 달하는 대학도 속출했다. 비수도권 대학의 의대 정원이 크게 늘어나고 정원의 60% 이상을 지역인재전형이 차지하면서 의대 진학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의사 부족한데 장기간 못 늘렸다' vs '증원은 비과학적 정책'(서울=연합뉴스) 권지현 기자=의대 증원 등 정부의 의료개혁을 주제로 열린 심포지엄에서 정부와 의료계가 신경전을 벌였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의대교수단체 '대학 입시요강 발표 미뤄야…대법판결 존중할것'(종합)(서울=연합뉴스) 권지현 기자=의대 교수 단체가 의대 증원 집행정지를 결정하는 대법원의 재항고심이 나올 때까지 대학이 입시요강 발표를 중지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고졸은 어디로 가야 하나…공공기관 신규 채용 1만명 ‘뚝’공공기관 신규 채용 규모가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최근 3년간 채용 인원이 1만명 가까이 줄어들었다. 특히 고등학교 졸업자의 타격이 컸다. 14일 리더스인덱스가 공공기관의 신규 채용 인원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신규 채용 인원은 2만207명으로 집계됐다. 공공기관 신규 채용 인원은 2020년 2만9845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2021년(2만5981명)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부가 원점재검토 말하면 전공의·의대생에 돌아오라고 할것'(종합)(서울=연합뉴스) 권지현 기자=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들이 '정부가 의대 증원에 대해 원점 재검토를 한다면 전공의와 의대생들에게 '정부를 믿...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