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년 전 751만명서 이젠 330만명”...민방위 대원수 급감한 이유 따져보니 [대통령의 연설]

대한민국 뉴스 뉴스

“24년 전 751만명서 이젠 330만명”...민방위 대원수 급감한 이유 따져보니 [대통령의 연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maekyungsns
  • ⏱ Reading Time:
  • 49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3%
  • Publisher: 51%

오는 22일은 민방위대 창설 49주년이 되는 날입니다. 민방위 제도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삼국시대 16~60세의 남성을 징발하던 부역제도까지 거슬러 올라가게 되는데요.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후에는 한국전쟁 당시 민방위 본부가 창설됐고 1975년에 이르러 민방위 기본법이 제정되며 오늘날과 같은 민방위대가 창설됐다고 합니다. 당시 월남 패망과 라오스, 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후에는 한국전쟁 당시 민방위 본부가 창설됐고 1975년에 이르러 민방위 기본법이 제정되며 오늘날과 같은 민방위대가 창설됐다고 합니다.이번 기사에서는 역대 대통령의 민방위대 창설 기념행사 연설을 되짚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시대변화 따라 안보→재난 강조민방위대 창설 초기를 제외하면 대통령이 창설기념 행사에서 연설한 사례는 흔치 않습니다. 주로 10주년마다 대통령 참석이 이뤄졌는데요.

보수진영으로 분류되는 대통령들만 연설기록을 남겨 10주년, 20주년, 40주년의 연설내용을 비교해보는 게 흥미로울 듯 합니다. 진보진영으로 분류되는 노무현 전 대통령 임기였던 30주년에는 관련 연설기록이 남아있지 않습니다. 10주년 연설 기록까지는 아직도 공산권 국가들을 경계하는 내용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데요. 전 전 대통령은 “우리의 주변정세는 공산주의 세력간의 정치ㆍ군사적인 연계가 눈에 띄게 강화됨으로써 한치 앞을 예측하기 어려운 불안정성을 날이 갈수록 심화시키고 있으며, 세계경제환경도 각국간의 무역마찰과 갈등이 전쟁을 방불케 하는 심각한 상황을 빚어내고 있읍니다”라고 했습니다.김 전 대통령은 “민방위대는 지난 20년간 범국민적인 안보태세를 확립하고 각종 재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데 큰 기여를 해왔습니다”라며 “민방위대는 안보기능 이외에도 평시재난에 대비해야 하는 또 하나의 막중한 사명이 있습니다”라 강조했습니다.

박 전 대통령의 40주년 기념연설 역시 “국가적으로 어려운 재난이 발생했을 때는 앞장서서 현장으로 달려가 복구와 지원에 구슬땀을 흘렸습니다”라는 등 재난 복구역할이 강조된 모습입니다.두차례 걸쳐 300만 넘게 감축이들 연설에 등장하는 민방위대 규모를 비교하는 것도 재미있는데요. 김영삼 전 대통령이 연설한 20주년에 680만명에 달했던 민방위 대원이 박근혜 전 대통령의 40주년 연설에서는 370만명까지 줄어들어 있었죠.1999년 언론보도에 따르면 당시 김대중 정부와 여당인 국민회의는 당정협의를 거쳐 민방위 편성연령을 50세에서 45세로 낮췄습니다. 이같은 개정안이 시행된 것은 2000년 7월부터인데요. 그결과 2000년 751만명으로 최대 규모를 기록했던 민방위 대원수는 2002년 628만명까지 급감하게 됩니다.‘박정희 대통령의 성평등 인식은?’ ‘이명박 대통령이 기억하는 현대건설은?’…은 연설문과 각종 기록을 통해 역대 대통령의 머릿속을 엿보는 연재기획입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maekyungsns /  🏆 15.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시진핑 “적대 세력들, 청소년 노린다”…6년 전 연설 재소환시진핑 “적대 세력들, 청소년 노린다”…6년 전 연설 재소환“적대 세력이 중국을 서구화하려 한다. 특히 청소년을 노린다.” 중국공산당 중앙기관지 ‘치우스’(求是)가 지난 1일 보도한 시진핑 국가주석의 2018년 연설의 한 대목이다. 시 주석은 청년 교육을 주제로 한 당시 연설에서 외세의 위협을 강조하며 중국식 애국 교육과 투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때 아시아 2위 부자가 중국 특별시설 구금돼...무슨 일?한때 아시아 2위 부자가 중국 특별시설 구금돼...무슨 일?2017년 재산 570조원 헝다 쉬자인 회장 부동산 실패 이젠 부채만 433조원 나락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TV토론 앞둔 트럼프, ‘고령 논란’ 시험대 되돌려받나TV토론 앞둔 트럼프, ‘고령 논란’ 시험대 되돌려받나10일(현지시간) 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공화당 후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첫 TV토론을 앞두고 트럼프 전 대통령의 ‘고령 리스크’가 떠오르고 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文 전 사위 특혜 채용 의혹…서울중앙지검 이송 가능성 '꿈틀'文 전 사위 특혜 채용 의혹…서울중앙지검 이송 가능성 '꿈틀'(전주=연합뉴스) 정경재 기자=문재인 전 대통령의 사위였던 서모 씨의 '타이이스타젯 특혜 취업' 의혹 수사가 문 전 대통령의 뇌물수수 혐의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0년 전 실종된 어머니 유골까지···일본 ‘쓰레기 집’ 해결이 어려운 이유10년 전 실종된 어머니 유골까지···일본 ‘쓰레기 집’ 해결이 어려운 이유일본 ‘쓰레기 집’ 10곳 중 7곳은 거주자가 건강 문제나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28일 나타났다. 일본 정부와 언론은 철거, 청소 같은 일시 대책을 넘어 복지 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자수첩] 노무현의 도시 세종시, 대화와 타협은 실종[기자수첩] 노무현의 도시 세종시, 대화와 타협은 실종(세종=연합뉴스) 한종구 기자=세종시는 2002년 대선을 앞두고 행정수도 이전 공약을 제시한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제안으로 시작된 도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6 02:2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