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옥철’ 압사 사고 우려가 나오고 있는 ‘김포골드라인’(김포도시철도)에서 개통 이후 3년6개월 동안 151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0건 가운데 4건이 ‘선 채로 기절’ 등 높은 혼잡도가 원인으로 추정되는 사고였습니다.
김포도시철도에 승객 과밀 현상이 이어진 18일 오전 경기도 김포시 고촌역에 정차한 하행선 전동차가 승객들로 가득 차 있다. 연합뉴스 ‘지옥철’ 압사 사고 우려가 나오고 있는 ‘김포골드라인’에서 개통 이후 3년6개월 동안 151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10건 가운데 4건이 ‘선 채로 기절’ 등 높은 혼잡도가 원인으로 추정되는 사고였다. 28일 김주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김포골드라인 운영사인 김포골드라인운영㈜으로부터 제출받아 공개한 자료를 보면, 2019년 9월28일 개통 이후 올해 3월 말까지 김포골드라인 열차 또는 승강장에서 발생한 안전사고는 모두 151건이었다. 사고 유형을 보면 ‘서있는 채로 정신 잃음, 어지럼증, 쓰러짐, 혼잡으로 인한 부상’ 등 극심한 혼잡 때문으로 추정되는 사고가 61건으로 가장 많았다. 사고의 대부분은 혼잡이 가장 심한 구간인 ‘김포공항역~고촌역~풍무역~사우역’에서 발생했다.
비교적 긴 시간 심한 압박이 가해지다보니 호흡곤란을 호소하는 승객들이 더 많이 생기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두 번째로 많이 발생한 사고 유형은 ‘에스컬레이터 전도’로 27건이었다. ‘급정거·급제동·열차 오작동’으로 인한 승객 부상도 6건 있었다. 2020년 8월에는 김포공항역에서 천장 패널이 떨어져 승객이 맞기도 했다. 사고건수는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다. 2019년 3건→2020년 19건→2021년 45건→2022년 74건까지 늘어났고 올해 1~3월에만 22건이 발생했다. 김 의원은 “안전사고가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운영사의 눈에 띄는 실질적 안전대책은 찾아볼 수 없다”며 “자료로 남은 것이 이 정도이고, 김포공항역 현장에서는 하루 건너 한 번씩 호흡곤란 환자가 나오는 등 상황이 매우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김포 인구는 50만명이며, 경기도 김포 양촌역에서 서울 김포공항을 잇는 무인경전철 김포골드라인 하루 평균 이용자는 7만8천여명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1.4만쌍 '무료 결혼'...윤 대통령도 찾은 예식장 대표, 1년 투병끝 별세 | 중앙일보신신예식장 대표 백낙삼씨가 투병 끝에 28일 별세했습니다. 향년 93세.\r백낙삼 별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두번째 변성기’ 60대 이후 온다…평생 3번 바뀌는 목소리사람은 태어나면서 죽을 때까지 하나의 몸으로 살아가지만, 성대만큼은 세 가지 변신을 합니다. 나이 들면 목소리도 나이를 먹습니다. 때로는 성대에 세월의 펀치가 직격으로 다가와 음성장애가 생길 수 있습니다. 🔽 60대 이후 ‘변성기’ 대처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엉터리 안전 컨설팅해놓곤 보조금 14억 타낸 민박협회 덜미 | 연합뉴스(춘천=연합뉴스) 박영서 기자=농어촌민박에서의 각종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컨설팅 사업 보조금을 부정한 방법으로 타내고, 컨설팅마저 부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이 서울 유' 잇는 서울의 새 브랜드는 '서울, 마이 소울''아이 서울 유' 잇는 서울의 새 브랜드는 '서울, 마이 소울' 브랜드 손병관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