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산업연구원은 얼어붙은 부동산 시장 상황이 2023년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최근 전망했다. 전국 주택 가격은 3.5%, 아파트 가격은 5.0% 하락할 것으로 예측했다.
사진 크게보기 실거래가를 기준으로 할 경우 하락폭은 더 클 것으로 내다봤다. 여전히 거래절벽이 이어지는 것을 전제로 전국 아파트값은 8.5% 떨어지고, 서울과 수도권은 각각 9.5%, 13.0%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주산연은 “고금리와 경기위축, 부동산 세제 정상화 지연 등으로 집값 하락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올해 역시 전반적인 하락이 예상되나 ‘거래가 있는 하락’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윤 수석위원은 하락 형태도 지난해와 같은 ‘거래가 없는 하락’이 아닌 질적으로 개선된 ‘거래가 있는 하락’ 형태로 바뀔 것으로 내다봤다. 상반기는 급매물 거래에 따른 하락세를 이어가지만 올해 하반기로 갈수록 연착륙에 따른 상승전환 가능성도 높다고 판단했다. 심형석 미국 IAU 부동산학과 교수 역시 “전체적으로 올해 역시 하락할 것으로 보이지만 하락폭은 작을 것”이라며 “하반기 들어 주거선호지역을 중심으로 반등하는 양상이 보일 수 있다”고 내다봤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올해는 고금리 태풍과 경기침체로 수요가 위축될 수밖에 없다”면서 “올 한 해는 하락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 수석전문위원은 고금리와 함께 부동산 시장에서 경계해야 할 또 다른 요소로 ‘경기침체’를 꼽았다. 그는 “금리 인상은 어느 정도 예측되는 박스권에 있어 현재로서는 상수 또는 고정변수에 가깝다”면서 “다만 경제성장률은 일각에서는 1%대를 예상하지만 역성장 전망도 나오고 있어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개포 10억, 마포 6억 빠졌다…3년 전 돌아간 서울 아파트값 | 중앙일보이씨는 '공덕·아현동 아파트가 2019년 말 가격까지 내려왔다'며 '예상보다 집값 하락 폭이 크고 하락 속도도 빠른 것 같아 좀 더 지켜본 후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진석 '올해 국정개혁 추진 적기…당정 혼연일체로 뛰어야'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김연정 박형빈 기자=국민의힘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은 8일 '전국 단위 선거가 없는 올해는 국정개혁을 추진할 수 있는 적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안철수, ‘김장연대’에 “김장김치는 3월이면 쉰다” 친윤 주자 견제안철수 의원은 윤핵관인 장제원 의원과 김기현 의원의 김장연대 를 “텃밭연대”라고 평가하면서도 자신에 대해선 영남에 뿌리를 둔 수도권 의원”이라고 확장성을 강조했습니다. 🔽 자세히 읽어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년 전 '영끌 사태' 맞힌 이 사람 '본격 하락장, 집 살 때 아니다' | 중앙일보‘부동산 사이클론자’ 이현철 소장 '금리 인상이 멈춰도 집값은 올라가지 않을 것이다. 최근 집값 급락에도 이현철 아파트사이클연구소장은 '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