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닭 벌레 인체 무해” 하림 회장 발언 논란···식약처 “현장 조사”

대한민국 뉴스 뉴스

“생닭 벌레 인체 무해” 하림 회장 발언 논란···식약처 “현장 조사”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45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1%
  • Publisher: 51%

하림이 판매한 생닭에서 다량의 벌레가 발견된 것과 관련해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이 ‘인체에 무...

하림이 판매한 생닭에서 다량의 벌레가 발견된 것과 관련해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이 ‘인체에 무해하다’는 취지로 발언해 논란이 일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김 회장 발언이 부적절하다고 평가하며 현장 조사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3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김 회장은 지난 1일 새 브랜드 출시 간담회에 앞서 취재진과 만나 ‘벌레 생닭’과 관련한 질의에 “사람 건강에는 전혀 문제가 없는…”이라고 말했다. 그는 “곤충을 식용으로 쓰는 부분이 있다. 딱정벌레도 그중 하나라서 실질적으로 큰 문제는 없지만, 위생적으로 이물질로 분류되기 때문에 들어가면 안 된다”고 말했다.이날 하림산업은 어린이 식품 브랜드 ‘푸디버디’ 출시를 알렸다. 김 회장은 직접 브랜드를 소개하며 “아이들에게 마음 놓고 먹일 수 있는 음식을 만들기 위해 개발에 나섰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질의응답 시간에는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당시 하림산업 관계자는 생닭 이물과 관련해 위생 문제를 우려하는 질의에 “푸디버디 생산시설은 해썹 기준에 따라 철저하게 위생관리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회장 발언이 뒤늦게 전해지자 식약처 관계자는 “밀웜을 식품원료로 사용하려면 관련 법에 따라 적합한 사육 기준으로 기른 것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밀웜이 식품원료로 등재돼 있긴 하지만, 위생적으로 가공했을 때 안전하다고 말할 수 있다는 취지다. 식약처는 하림 측에 개선 조치를 요구했고, 이 조치가 적용됐는지 현장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앞서 식약처는 하림 동물복지 생닭에서 벌레로 보이는 이물질을 다량 발견했다는 소비자의 신고를 받고 하림 측에 재발 방지 대책 수립을 요구했다. 하림 생산공장 관할 지자체인 전북 정읍시는 조사 결과 해당 이물질이 딱정벌레의 일종인 거저릿과 유충임을 확인했다.

정읍시는 농장 깔짚에 서식하던 거저리 유충을 닭이 출하 전 절식 기간에 섭취했고, 도축 과정에서 모이주머니가 제거되던 중 터지면서 해당 유충이 식도 부분에 자리 잡은 것으로 추정된다는 조사 결과를 식약처에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kyunghyang /  🏆 1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하림 회장 '생닭 벌레, 건강에 문제 없어'…식약처 '자체가 이물, 현장 조사'하림 회장 '생닭 벌레, 건강에 문제 없어'…식약처 '자체가 이물, 현장 조사'최근 하림이 판매한 생닭에서 여러 마리의 벌레가 발견된 이후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이 '사람 건강에 전혀 문제가 없다'고 발언해 논란이 된 가운데 정부는 김 회장의 발언이 부적절하다고 판단, 현장조사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3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식품의약품안전처 관계자는 '(발견된 벌레) 그 자체가 이물'이라며 '하림 측에서 재발 방지책을 받게 되면 현장에서 지켜지고 있는지 확인할 예정'라고 밝혔다. 식약처는 지난달 31일 하림 동물복지 생닭에서 벌레로 보이는 이물질을 다량 발견했다는 소비자의 신고를 받고, 하림 측에 재발 방지 대책 수립을 요구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하림 김홍국 회장 '생닭 벌레' 논란 해명…'인체에는 무해하다'하림 김홍국 회장 '생닭 벌레' 논란 해명…'인체에는 무해하다'정읍시는 해당 닭이 농장 깔짚에서 자라던 거저리 유충을 먹었고, 제품 출하 전 도축 과정에서 모이주머니가 터지면서 식도 부분에 유충이 자리 잡은 것으로 추정했다. 정읍시는 '조사 결과는 식약처에 전달했고, 관련 법령상 1차 위반에 해당해 경고 조처가 내려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주)하림 김홍국 회장은 지난 1일 서울 강남구 CGV청담씨네시티에서 열린 유아용 식품 '푸디버디' 론칭(출시) 행사에서 취재진에게 '친환경 농장은 소독약을 쓰지 못해 벌레가 많을 수밖에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생닭서 벌레 수십마리 나왔는데…하림 회장 '인체엔 무해하다'생닭서 벌레 수십마리 나왔는데…하림 회장 '인체엔 무해하다'지난달 수도권 한 대형마트에서 해당 제품을 산 소비자가 이튿날 닭 목 부위에서 벌레로 보이는 이물질을 대량으로 발견했다는 글을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리면서 논란이 불거졌다. 정읍시는 해당 닭이 농장 깔짚에서 자라던 거저리 유충을 먹었고, 제품 출하 전 도축 과정에서 모이주머니가 터지면서 식도 부분에 유충이 자리 잡은 것으로 추정했다. (주)하림 김홍국 회장은 지난 1일 서울 강남구 CGV청담씨네시티에서 열린 유아용 식품 '푸디버디' 론칭(출시) 행사에서 취재진에게 '친환경 농장은 소독약을 쓰지 못해 벌레가 많을 수밖에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자수첩] ‘생닭 벌레’에도 그저 브랜드 홍보…그날 하림이 간과한 것[기자수첩] ‘생닭 벌레’에도 그저 브랜드 홍보…그날 하림이 간과한 것“친환경이라 그렇다.” 사진을 보는 사람마다 구역질했다고 할 정도로 심각한 식품 위생 논란이 일어났는데도 사과는 형식적이었다. 재발 방지 이야기는 마지못해 한 수준이었고, 그마저도 수일이 늦었다. 국내 육계 사업 1위 기업, 하림의 이야기다.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은 지난 1일 서울 청담씨네시티에서 열린 신규 어린이식 브랜드 ‘푸디버디’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하림 '생닭 벌레' 해명...'친환경 농장, 사람 건강에 문제없다'하림 '생닭 벌레' 해명...'친환경 농장, 사람 건강에 문제없다'최근 브랜드 하림의 생닭에서 벌레가 발견된 데 대해 하림 김홍국 회장이 '인체에 전혀 해가 없다'고 해명해 논란이 됐다.지난달 수도권의 한 대형마트에서 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하림 '생닭 벌레' 해명...'친환경 농장, 사람 건강에 문제없다'하림 '생닭 벌레' 해명...'친환경 농장, 사람 건강에 문제없다'최근 브랜드 하림의 생닭에서 벌레가 발견된 데 대해 하림 김홍국 회장이 '인체에 전혀 해가 없다'고 해명해 논란이 됐다.지난달 수도권의 한 대형마트에서 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28 06:5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