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항공우주원 노동조합은 다음 주에 연구원 처우 개선 문제에 대한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지난 21일 누리호 발사 성공으로 1t급 위성을 자력으로 발사할 수 있는 세계 7번째 나라에 한국을 올려 놓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과학자들에 대한 찬사가 잇따르고 있다. 하지만 이들의 노고를 국가적인 사명감의 관점에서만 바라보지 말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누리호 발사 성공 다음 날인 지난 22일 블라인드에는 ‘누리호 성공에 가려진 불편한 진실’이라는 게시글이 올라왔다. 해당 글에 따르면 박사과정을 막 졸업한 연구원은 항공우주연구원에서 연봉 약 5200만원을 받는다. 항공우주연구원 관계자 A씨는 “40대 초반 이하 연구원들을 기준으로 보면 또 다른 정부연구기관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나 한국원자력연구원보다 대략 1000만원을 덜 받는다”고 말했다.더 큰 문제는 시간 외 수당에 있다. 특정한 발사 시한을 정해놓고 연구 능력을 집중해야 하는 항공우주연구원 특성 상 야간이나 휴일 근무가 많은데, 보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블라인드 게시글 작성자는 “연구원들은 새벽 2~3시까지 일해도, 주말에 일해도 보상이 없다”고 토로했다.
항공우주연구원은 출장비도 짜다. 기본적으로 KTX 비용을 기준으로 하지만, KTX가 없는 소도시로 출장을 가면 시외버스 기준으로 교통비를 준다. 하지만 연구원들은 버스 대기 시간이 아까워 대개는 개인 승용차를 이용한다. 이렇게 되면 기름값을 주는데, 지급 기준은 ℓ당 1800원이다. 오피넷 기준 24일 전국 휘발유 평균 가격은 2126원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美 위성부품 통제 '걸림돌‘...한미 '우주대화‘ 재개 주목[앵커]독자적인 발사체 기술로 '누리호' 발사에 성공했지만 우주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선 넘어야 할 산이 적지 않습니다.실용 인공위성 등을 탑재하기 위해선 미국의 핵심부품 수출제한을 풀어야 하는데 한미 당국 간 우주대화는 6년 넘게 중단된 상태여서 조속한 재개 여부가 주목됩니다.이교준 기자의 보도입...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