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란 아닌데 언론이 ‘논란’으로 갈등 조장” 연구 나와: (톱스타뉴스, 2022.8.8)(중앙일보, 2017.12.16)‘이슈+네티즌들 논란’ 형식의 기사제목은 논란이 아닌 문제를 논란이라고 보도하는 언론의 대표적인 관행이다. 논란이라는 단어를 무분별하게 사용하는 언론보도는…
‘이슈+네티즌들 논란’ 형식의 기사제목은 논란이 아닌 문제를 논란이라고 보도하는 언론의 대표적인 관행이다. 논란이라는 단어를 무분별하게 사용하는 언론보도는 오히려 갈등을 만들어내거나 중계한다. 사안을 정확하게 지칭하지 않고 문제 상황이라는 분위기를 풍겨 사안을 축소하고 문제의 크기를 키우는 데 이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다. 영미권에서는 논란이 아닌 것을 논란화한 상황을 non과 controversy을 합한 ‘non-troversy’라는 신조어로 표현하고 있다.
사회, 문화 등 섹션별로 논란 기사 제목의 단어 빈도를 분석한 결과, ‘논란’이라는 단어는 의견 교환으로서 기능하기보다는 특정 인물의 발언, 태도, 입장을 낙인찍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문화 섹션에서는 ‘연예인 태도와 품행’, ‘연예계 각종 스캔들’과 같은 가십이 주요 ‘논란’ 기사로 나타났다. ‘사진’, ‘사과’, ‘방송’, ‘공개’, ‘멤버’, ‘자신’, ‘영상’ 등의 단어로 주요 연예인의 발언이나 태도를 다룬 ‘논란’ 기사의 수는 지난 30년간 가파르게 상승했다. 연예인들이 저지른 범죄부터 임금 체불 등 연예계에서 일어나는 각종 사건들과 관련된 스캔들 논란도 최근으로 올수록 증가했다.
각 매체가 발행한 정치 기사 중 논란 기사가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본 결과, 경향신문은 노무현, 이명박 정권 시기, 한겨레는 노무현∼문재인 정권 시기, 동아일보는 노무현, 문재인 정권 시기, 중앙일보는 문재인 정권 시기에 전체 정치 기사 중 논란 기사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보수지가 진보 성향 정권 시기에 정치 이슈를 논란으로 다루는 정도가 높았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장마 코앞인데, 204억 침수예방시설에 균열... 부실공사 논란거제시 우수저류시설 하자 발생, 소송 대비해 복구공사 미뤄... 저지대 침수 등 우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푸틴의 요리사'에서 '쿠데타 수장'으로... 프리고진에 무슨 일이올해 초부터 러시아 수뇌부와 프리고진 사이에 이상 기류가 감지됐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러시아 무장반란 '끝까지 간다', 모스크바 일대 비상러시아 무장반란 '끝까지 간다', 모스크바 일대 비상 프리고진 푸틴 무장반란 크렘린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근현대사 연구 '대표적 진보 역사학자' 강만길 교수 별세근현대사 연구 '대표적 진보 역사학자' 강만길 교수 별세 강만길 평화통일 분단의식 역사학자 진보학자 이영일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모기는 세상에 불필요한 생명체' 주장 '대체로 거짓''모기는 세상에 불필요한 생명체' 주장 '대체로 거짓' 모기 말라리아 궤도 해충 강석찬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기 일단 살려야 vs 양육포기 부추겨…'보호출산제' 오랜 논란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고미혜 권지현 기자=지난 8년 사이에만 2천 명이 넘는 출생 미신고 영유아가 존재했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영아 유기나 '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