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도 의대 정원도 논의 가능성 높여 한덕수 총리 “일단 만나서 진솔하게 협의” 정부, 의제 관련해 종전보다 유연한 태도 “내년도 정원 조정 힘들어” 확대해석 경계
“내년도 정원 조정 힘들어” 확대해석 경계 한덕수 국무총리가 3일 국회에서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와 만난 자리에서 여야의정 협의체와 관련해 “의제에 제한을 두지 않겠다”고 말했다.
한 총리는 이날 “정부의 방침은 전제 조건과 사전 의제를 정하지 않고 여야의정 협의체에서 이야기하자는 것”이라며 “정말 진솔하게 방안과 협의를 논의해 보자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의료계 불참으로 여야의정 협의체 구성에 난항이 계속되자 정부도 ‘문턱’을 좀 더 낮춘 것으로 해석된다. 한 대표도 이날 만남에서 “목표는 국민 건강과 생명을 지키고 시스템을 발전시키는 것”이라며 “의제 제한이라든가 전제 조건은 없다”고 강조했다.이와 관련해 정부 관계자는 “의사들이 원할 경우 내년도 의대 정원 문제도 테이블에 올릴 수 있다는 의미”라며 “다만 이미 입시 절차가 시작됐다는 점에서 정부는 여전히 내년도 정원 조정은 수용하기 힘들다는 입장”이라고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김선민 조국혁신당 의원이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달 2일부터 24일까지 치러진 제89회 의사 국가시험 실기시험에는 347명이 최종 응시했다.
이는 내년 초에 배출되는 신규 의사 수가 턱없이 모자란다는 의미여서, 당장 공중보건의 부족 등 파장이 커질 전망이다. 지난 해 제88회 의사 국가시험 실기에는 3212명이 시험을 치렀고, 2022년 제87회에는 3291명이 응시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與 이공계 활성화 당정협의회 “석사특화장학금 추진하고 공공부문 일자리 확대할 것”석사 1000명 대상 연간 500만원 지원 與 김상훈“내년 예산 확대도 힘쓰겠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025년 증원도 논의 가능' 제안에 의료계서도 '대화론' 고개(서울=연합뉴스) 권지현 기자=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의제 제한 없는 여야의정 협의체' 이야기를 꺼내자 의료계 일각에서도 대화론이 고개를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025년 정원도 논의 가능' 제안에 대한의학회장 '굉장히 환영'(종합2보)(서울=연합뉴스) 김병규 오진송 권지현 기자=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의제 제한 없는 여야의정 협의체' 이야기를 꺼내자 의료계 일각에서도 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025년 정원도 논의 가능' 제안에 대한의학회장 '굉장히 환영'(종합)(서울=연합뉴스) 김병규 오진송 권지현 기자=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의제 제한 없는 여야의정 협의체' 이야기를 꺼내자 의료계 일각에서도 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의료계, 추계기구 신설엔 공감…의대 증원엔 입장변화 '없다'(종합)(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대통령실이 의사단체 추천 전문가가 절반 이상 참여하는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을 신설하겠다고 제안한 것에 대해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부 '의료계, 의견 안내면 2026년 의대 증원 재논의 불가'의대 증원과 관련해 의정갈등이 이어지고 있는 어제(6일) 대구 한 상급종합병원에서 의료관계자들이 응급실로 들어가고 있다. 〈출처=연합뉴스〉정부는 '의료계가 2026학년도 이후 의대 정원 규모에 대해 의견을 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