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김새론이 숨진 뒤 연예 기자 출신 유튜버의 무분별한 활동을 제재해달라는 국회 국민 청원 참여자가 4만명을 넘어섰다. 오는 26일 안에 5만명에 도달하면 국회 소관위원회로 안건이 넘겨진다. 13일 국회전자청원 누리집을 보면 “연예 전문 기자의 유튜브 채널 활동에 의
배우 김새론이 숨진 뒤 연예 기자 출신 유튜버의 무분별한 활동을 제재해달라는 국회 국민 청원 참여자가 4만명을 넘어섰다. 오는 26일 안에 5만명에 도달하면 국회 소관위원회로 안건이 넘겨진다.
13일 국회전자청원 누리집을 보면 “연예 전문 기자의 유튜브 채널 활동에 의해 발생하는 연예인 자살 등의 피해 예방을 위한 국회 차원의 강력한 제재 요청에 관한 청원” 동의에 이날 오후 2시 기준 4만2000명이 이름을 올렸다. 청원인 정아무개씨는 “연예부 기자가 만든 유튜브 채널을 통해 연예인을 스토킹 수준으로 괴롭히는 일에 대한 사회적 문제는 하루이틀의 문제가 아니다. 최근에도 이런 행태로 인해 또 한 명의 젊은 여배우가 자살로 비극적 결말을 맞이하였다”며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전∙현직 연예부 기자의 이런 악질적 행태에 대하여 반드시 공론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청원 이유를 밝혔다.이어 청원인은 “연예계의 뒷이야기를 주로 다루는 연예부 기자의 유튜브 채널과 에스엔에스 활동을 통해 대중이 잊을만하면 한 번씩 그녀의 일거수일투족이 그녀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스토킹 수준으로 파헤쳐 치고, 일방적으로 전화를 거는 등 접촉을 시도해 보고 이를 근거로 오로지 자신의 판단으로만 평가하여 ‘그녀가 현재 비정상적 사고와 행동을 하고 있다’, ‘자숙하지 않는다’ 등의 영상과 기사를 대중에게 전파하였다”고 주장했다.
청원인은 “국회는 이제 전 국민의 일상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유튜브, 이에 종사하는 유튜버의 기초 자격 조건을 정립하고, 이들이 전파하는 영상과 이야기들에 대해서 정확한 규정 마련과 기존 대중매체에 준하는 기준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이 청원은 김새론에 대해 사생활 폭로성 영상을 여러 차례 올린 기자 출신 유튜버 이진호를 겨냥한 것이다. 그가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연예 뒤통령 이진호’는 현재 구독자가 62만명이 넘는다. 국회 국민동의 청원은 100명이 동의하면 청원 요건 심사 대상이 되고, 청원서 공개 이후 한 달 안에 국민 5만명이 동의하면 국회 상임위원회에 회부된다. 이 안건의 동의 마감일은 26일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캐나다 위협하는 머스크 시민권 박탈”…의회 청원 26만명 넘어청원을 개시한 지 닷새 만에 성난 캐나다 시민 26만8천여명이 일론 머스크 테슬라·스페이스 엑스(X) 최고경영자의 캐나다 시민권과 여권을 박탈하라고 서명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함께 캐나다 국가 이익에 반하는 활동에 관여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캐나다 의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죽음 부르는 연예 기자 유튜버 제재하라” 국회 청원 하루 만에 3천명배우 김새론의 사망으로 인해 무분별한 연예인 관련 보도에 대한 사회 비판 여론이 높아지는 가운데, 연예 기자 출신 유튜버들의 무분별한 활동을 제재해달라는 국회 국민 청원이 시작됐다. 이 청원은 동의 진행 하루 만에 국민 3천여명이 이름을 올리며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새론, ‘아저씨’ 감독 '천재 감수성' 추모김새론 배우 사망에 이정범 감독, '아저씨' 시절 김새론의 연기와 감수성에 감탄하며 추모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尹 탄핵심판 마지막 변론 하루 앞…헌재 관심 3가지국회 군투입·체포조·계엄 국무회의 ‘국회 활동 방해’ 질문 가장 많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현장영상+] 정청래 '윤 대통령 파면으로 헌법 수호 의지 보여주길...'[정청래 / 국회 탄핵소추위원]존경하는 헌법재판소장님, 국회소추위원 국회 법제사법위원장 정청래입니다.대한민국의 운명을 좌우할 현직 대통령에 대한 탄핵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새론, '틈'을 허용하지 않은 우리 사회김새론 배우의 사망을 계기로, 여성 연예인에게 곧은 잣대를 들이대는 한국 사회의 문제점을 짚어내고, 과도한 비판과 엄벌주의가 개인의 성장을 阻害하고 사회 전체를 병들게 한다는 점을 경고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