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저우AG 81㎏ 지고도 “더 발전할 계기”
이준환이 25일 중국 항저우 샤오산 린푸 체육관에서 열린 아시안게임 유도 남자 81kg급 결승에서 타지키스탄의 소몬 막메드베코프와 싸우고 있다. 항저우/윤운식 기자 [email protected] “저 중국말로 해도 될까요.” 유도 결승전에서 져 기분이 가라앉았겠다는 예상은 빗나갔다. 금메달을 눈앞에서 놓쳤지만 2002년생 유도 스타 이준환는 달랐다. “중국 팬들한테 인사하고 싶다”는 그는 미디어 중계 카메라 앞에서 능숙한 중국어로 인터뷰를 했다. 자원봉사자의 도움으로 번역한 그의 말은 이렇다. “여러분, 안녕하세요. 저는 한국의 이준환입니다. 응원해주셔서 감사하고,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지난 25일 열린 2022 항저우아시안게임 남자 유도 81㎏ 결승전에서 타지키스탄 선수한테 통한의 업어치기 되치기 절반패를 당한 이준환은 위축됨이 없었다. 마음은 쓰리겠지만, 밖으로 티를 내지 않고 ‘쿨’했다. 오히려 “금메달 땄으면 좋았겠지만, 파리올림픽 전초전이라 생각한다.
25일 저녁 중국 항저우 샤오산 린푸 체육관에서 열린 항저우아시안게임 유도 시상식에서 이준환과 북한의 문성희가 은메달을 목에 걸고 있다. 항저우/윤운식 선임기자 [email protected] 어려서 배운 중국어를 자연스럽게 구사하고 카메라 앞에서는 당당하다. 이런 재능의 원천이 무엇이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그는 “어릴 때부터 운동선수의 가치를 높이고 싶었다. 운동만 잘하는 게 아니라 모든 것을 잘 하는 ‘롤 모델’이 되고 싶었다”고 답했다. 우연의 일치인지, 이날 21살 동갑내기인 북한의 문성희도 여자 70㎏급에서 은메달을 딴 신세대다. 남북관계의 경색으로 선수단끼리 대화도 하지 못하는 상황이지만, 문성희나 같은 나이 또래의 북한 응원단과 접촉해보면 신세대의 발랄함을 느낄 수 있다. 유도는 매우 격렬한 운동이다. 보통 사람은 두툼한 옷깃을 제대로 잡기도 힘들다. 선수들은 뼈마디가 비틀어지는 듯한 고통의 길에서 그야말로 승부를 봐야 한다. 다만 승패가 인생의 전부는 아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2002년생 동갑 ‘남남북녀’ 유도 다크호스, 값진 은메달항저우AG 남자 이준환 81㎏북한의 ‘괴물’ 문성희도 2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장준, 생애 첫 AG서 금빛 발차기…이제 라면 끓이러 간다25일 남자 겨루기 58㎏ 금메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태권도 '새 간판' 장준, 겨루기 58㎏급 금빛 발차기[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첫 아시안게임서 금메달 획득, 종주국 자존심 세웠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