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쉰다”…15~64살 ‘쉬고 있는 인구’ 비율 지속적 증가 추세

대한민국 뉴스 뉴스

“그냥 쉰다”…15~64살 ‘쉬고 있는 인구’ 비율 지속적 증가 추세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hanitweet
  • ⏱ Reading Time:
  • 24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3%
  • Publisher: 53%

일하지 않고 구직활동도 안 하는 비경제활동인구에게 ‘지난 1주일 동안 주로 무엇을 했느냐’는 질문에 ‘쉬었음’이라고 답한 사람이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말 그대로 구직도 취업 준비도 하지 않고 쉬었다는 뜻입니다. 이유가 무엇일까요?

서울 마포구에 있는 서울 서부고용복지 플러스센터 취업∙구직 상담실이 2021년 3월 텅 비어있는 모습이다. 연합뉴스 ‘15~64살 비경제활동인구 중 쉬고 있는 인구 비율’이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보고서 를 26일 보니, 이 비율은 2013년~2016년 동안 11%대 이하였지만, 2017년 12%를 시작으로 해마다 늘어 2020년 16.1%, 이어 2021년과 2022년엔 16.3%를 기록했다. 2020~2022년이 코로나 팬데믹 시기 이전인 2016년부터 지속적인 증가 추세였음을 알 수 있다. ‘15~64살 비경제활동인구 중 쉬고 있는 인구비율’은 15~64살에서 일하지도 않고 구직활동도 안 하는 비경제활동인구 중 ‘지난 1주일 동안 주로 무엇을 했느냐’는 질문에 ‘쉬었음’이라고 답한 이들이다.

보통 이 시기 청년들은 구직활동을 하거나 취업 준비를 하는데, 이들은 일하지 않고 교육이나 훈련도 받지 않는 청년 무직자로 이른바 ‘니트족’을 가리킨다. 일할 능력이 있는데도 이들 15~64살 인구가 쉰 이유는 뭘까? 지난해 8월 통계청 조사 결과에선, 몸이 좋지 않아서, 원하는 일자리·일거리를 찾기 어려워서, 퇴사 뒤 계속 쉬고 있음, 일자리·일거리가 없어서 등의 순으로 집계된 바 있다. 특히 청년의 경우에 대해서는 전문가들은 “일자리가 없기보다 청년들이 일하고 싶어하는 일자리가 줄어들거나 일자리 미스매치가 원인”이라고 지목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보고서에서 “육아, 가사, 연로, 심신장애 등의 이유로 비경제활동인구에 포함된 사람들을 위한 사회보장제도는 마련돼 있지만, 취업준비자나 쉬고 있는 사람들을 위한 제도는 미비하다”며 “이들을 사회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정책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hanitweet /  🏆 1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Render Time: 2025-04-06 17:5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