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 사태 전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간부가 국군방첩사령부 측과 연락한 정황이 있다는 언론 보도에 경찰이 “틀린 사실”이라며 발끈...
12·3 비상계엄 사태 전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간부가 국군방첩사령부 측과 연락한 정황이 있다는 언론 보도에 경찰이 “틀린 사실”이라며 발끈했다. 검찰의 일방적 입장이라는 취지다. 이번 수사의 주도권을 놓고 대립해오던 검찰·경찰의 경쟁이 계속 치열해지고 있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지난 12일 밤 10시쯤 입장문을 내고 “계엄 선포 전 방첩사령부와 국수본 관계자가 연락한 사실이 없다”며 “일부 틀린 사실이 있어 바로잡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는 방첩사령부와 국수본 간부가 연락한 단서를 잡은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가 방첩사 요청에 따라 계엄 전 국회에 경찰 기동대가 배치된 게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는 보도에 대한 해명이었다. 국수본 관계자는 계엄 당일 오후 11시32분쯤 방첩사 측이 국수본 실무자에게 연락해, ‘여의도 현장 상황이 혼란하다’며 안내할 경찰관의 명단을 요청했고, 이에 영등포경찰서 강력팀 형사 10명의 명단을 제공한 사실이 있을 뿐이라고 설명했다.이와 함께 경찰은 지난 6월 방첩사와 국수본 사이에 안보범죄 분야 양해각서를 맺은 경위를 검찰이 들여다보고 있다는 보도 내용에 대해서도 이번 계엄 상황과는 무관한 것이라고 일축했다.경찰과 마찬가지로 비상계엄 사태를 수사하는 검찰은 지난 6일 국수본에 수사를 함께 하자고 제안했지만 국수본이 거절했다. 이때 처음 갈등이 촉발됐고, 경찰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국방부 조사본부와 ‘공조수사본부’를 신설하면서 검찰은 제외해 두 번째 갈등이 표면화됐다.
계엄 전 방첩사·국수본 만남 의심” 보도에 경찰 “틀린 사실” 발끈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검찰 특수본, 정성우 방첩사 1처장·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 릴레이 조사12·3 비상계엄 사태를 수사하는 검찰이 11일 정성우 국군방첩사령부 1처장과 나승민 방첩사 신원보안실장 등을 소환했다. 비상계엄 핵심 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속보] 방첩사 전 처장 “방첩사 법무관들 ‘선관위 서버 확보 지시’ 반대했다”정성우 전 국군방첩사령부 1처장이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으로부터 선거관리위원회 전산실 서버를 확보하라는 지시를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속보]검찰 특수본, ‘계엄 주동’ 김용현 전 장관 구속영장 청구검찰이 12·3 비상계엄 사태를 주동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에 대해 9일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이번 사태 피의자 가운데 구속영장이 청구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野추미애 '방첩사, 여인형 지시로 11월 계엄 계획 문서 작성'(종합)(서울=연합뉴스) 한혜원 김호준 기자=더불어민주당 추미애 의원은 8일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 군 방첩사령부가 이미 지난달 여인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추미애 “방첩사 계엄 사전 모의” 문건 공개추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8일 “국군방첩사령부가 12·3 비상계엄을 사전에 모의했다”며 문건을 공개했다. 추 의원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野 '방첩사 11월에 계엄 사전 준비 정황…압수수색해야'(종합)(서울=연합뉴스) 안정훈 기자=더불어민주당은 7일 '국군방첩사령부가 언론보도 후 계엄 사실을 인지했다는 해명과는 달리 사전에 계엄을 준비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