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 효과’ 누린 지역언론, 조회수 유혹에 빠지기도

대한민국 뉴스 뉴스

‘포털 효과’ 누린 지역언론, 조회수 유혹에 빠지기도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mediatodaynews
  • ⏱ Reading Time:
  • 51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4%
  • Publisher: 63%

“저희는 농어촌 특별전형이라고 불러요.” 한 지역언론 관계자는 지역언론 특별심사를 농어촌 학생들끼리 별도로 경쟁하는 대입 전형에 빗댔다. 포털이 지역언론을 외면한다는 비판이 잇따르자 포털의 뉴스제휴를 심사하는 독립기구인 뉴스제휴평가위원회는 2021년 특별심사 제도를 마련해 9개 광역단위별 1개 매체씩 입점하게 했다.지역언론에게 특별심사는 둘도 없는 기회였다. 포털 콘텐츠 제휴 매체가 100곳 미만이고 7년 간 합격 매체가 10곳도 안 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전례 없는 대규모 입점이었다. 심사 결과 2021년 11월 강원도민일보(강원)

한 지역언론 관계자는 지역언론 특별심사를 농어촌 학생들끼리 별도로 경쟁하는 대입 전형에 빗댔다. 포털이 지역언론을 외면한다는 비판이 잇따르자 포털의 뉴스제휴를 심사하는 독립기구인 뉴스제휴평가위원회는 2021년 특별심사 제도를 마련해 9개 광역단위별 1개 매체씩 입점하게 했다.

A지역언론 디지털부문 관계자는 “많은 독자들이 우리 매체를 알게 된 것이 큰 성과”라며 “그동안 디지털 분야 수익이 크지 않았는데, 포털 입점 후 디지털 전략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B지역언론 디지털부문 관계자는 “포털이 아니면 어떤 채널을 통해서도 이 정도 구독자를 모을 수 없다. 페이스북이나 유튜브를 해도 유효한 채널을 새로 뚫는 건 상당히 어렵다”며 “포털은 안정적인 독자층이 있고 수익이 확보될 수 있는 유일한 채널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포털 기사를 매개로 ‘관련기사’ 등을 클릭해 언론사 홈페이지로 유입되는 비중도 무시하기 힘든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포털에 입점한 지역언론사들이 지역뉴스를 적극적으로 생산하고 배치하는 데는 뉴스제휴평가위원회가 내건 ‘심사 조건’의 영향을 무시하기 힘들다. 특별심사를 도입하며 자체 기사 생산 비율에 충족하는 기사 가운데 80%가 해당 지역의 기사여야 한다는 전제 조건을 붙였다. 지역 기사 생산 비율을 충족하지 못하면 언제든 계약이 해지될 수 있다. C지역언론 관계자는 “1년 내내 들었던 고민이 있다. 우리가 가장 잘 쓰는 지역 기사를 쓰면 많이 보지도 않고 돈도 안 된다. 소위 말하는 ‘히팅’이 많이 나오는 기사들은 전국구 기사”라며 “그래도 우리는 양질의 지역 기사를 쓰겠다고 방향성을 정했는데 현장에선 고민이 들 수밖에 없다. 지역 기사를 충실하게 쓰는 메리트가 전혀 없기 때문이다. 남들과 같은 기사를 쓸 수밖에 없는 구조를 네이버가 만드는 것 아닌가”라고 지적했다.특별심사 기준을 둘러싼 논란은 현재진행형이다. 뉴스제휴평가위원회는 제휴심사 결과 80점 이상인 매체만 콘텐츠 제휴 자격을 부여하는데 7년 간 합격매체가 10곳도 되지 않을 정도로 진입장벽이 높다. 이런 상황에서 지역언론 합격 매체 수를 많이 두거나 기준을 대폭 낮추게 되면 다른 매체들의 ‘역차별’ 논란을 피할 수 없다. 소수의 특정 지역 언론사만 입점하면 지역성 구현 취지가 훼손되고 ‘사각지대’가 발생하는 우려도 있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mediatodaynews /  🏆 8.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Render Time: 2025-04-17 11:2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