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래어표기법을 결정해온 정부·언론외래어심의공동위원회(외래어심의위)에서 언론단체가 빠지기로 했다. 정부가 표준어를 결정하는 것에 대해 언어 다양성을 해치는 등 비판이 있는 가운데 유일하게 정부와 민간이 함께 표기법을 결정하는 분야가 사라져 아쉽다는 평가도 나온다. 외래어심의위는 지난 1991년 국립국어원(당시 국립국어연구원)과 한국신문방송인편집인협회(당시 한국신문편집인협회)가 공동으로 위원회를 구성해 주로 언론이 보도하는 말을 중심으로 외국어와 외래어를 심의해 한글 표기를 결정해왔다. 외래어표기법은 외래어를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외래어표기법을 결정해온 정부·언론외래어심의공동위원회에서 언론단체가 빠지기로 했다. 정부가 표준어를 결정하는 것에 대해 언어 다양성을 해치는 등 비판이 있는 가운데 유일하게 정부와 민간이 함께 표기법을 결정하는 분야가 사라져 아쉽다는 평가도 나온다. 외래어표기법은 외래어를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예를 들어 Paris를 ‘파리’라고 쓰기로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 외래어심의위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관행적으로 러시아어식으로 표기하던 우크라이나 지명을 우크라이나어식으로 바꾸는 결정을 한 바 있다. 현재 외래어심의위 위원장은 장소원 국립국어원장과 서양원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장, 부위원장은 이정근 중앙일보 어문연구소 대표와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이 맡고 있다. 위원은 언론학자나 교사, 공무원, 언론인 등 14명이 참여하고 있다.
편집인협회가 빠지는 대신 한국어문기자협회의 참여가 거론되긴 했지만 결론적으로 참여하진 않는다. 이정근 한국어문기자협회장은 이날 미디어오늘과 통화에서 “공동으로 위원회를 꾸리면 예산도 들어가야 하고 사무도 맡아야 하는데 그 부분에서 곤란하다”고 말했다. 한국어문기자협회는 편집인협회에 비하면 작은 조직이기 때문이다. 표준어를 결정하는 주체는 국립국어원이다. 외래어심의의 경우 예외적으로 정부와 언론이 함께 표기법을 결정한다는 상징적 의미가 있었지만 이마저도 30여년 만에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된다. 다만 당장 실무적으로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국립국어원에서 앞으로 언론인을 위원으로 선정해 함께 결정할 수밖에 없어서다. 이승재 국립국어원 공공언어과장은 이날 미디어오늘과 통화에서 “기존에도 외래어표기법 결정은 국어원에서 주도적으로 했다”며 “이제는 국어원 자체적으로 외래어심의위를 구성해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 외래어심의위 위원은 미디어오늘에 “어떤 언론단체와 협업을 하든 국립국어원이 중심이 될 수밖에 없다”며 “당장은 비슷하겠지만 그럼에도 결정주체가 정부 단독으로 가니 시간이 많이 흐르면 어떻게 달라질지 모른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윤 정부 해결책, 일본 입장 훼손 안해'... '제3자 변제' 반기는 일 언론'윤 정부 해결책, 일본 입장 훼손 안해'... '제3자 변제' 반기는 일 언론 한일_관계 강제동원 윤현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일본 후쿠시마 원전수 방류 코앞, 대책은?일본 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를 올해 여름쯤 방류 할 것으로 전해지면서 국민들이 가장 불안해하는 부분은 먹거리, 수산물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당진시 공무원 피감기관 술자리 논란, 행안부도 나서나언론 보도 이후 확인차 당진시 방문 예정... 지역 시민사회 "관련 공무원 징계하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 언론 '韓 훨씬양보, 日 마지못해'윤석열 정부가 내놓은 일제 강제징용 배상 문제 해법에 대해 외신도 비상한 관심을 나타냈다. 뉴욕타임스는 6일(현지시간) 한국 정부의 이날 발표에 대해 '한국은 일본 기업들에게 더 이상 강제징용 피해자들에 대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소신발언 자제한 中 '소수파 총리' 리커창의 마지막 업무보고 | 연합뉴스(베이징=연합뉴스) 한종구 특파원=리커창 중국 총리가 5일 개막한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서 정부 업무보고를 마치면서 총리로서의 10년간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일 언론 '윤 대통령 16~17일 방일... 총리와 정상회담안 부상'일 언론 '윤 대통령 16~17일 방일... 총리와 정상회담안 부상' 윤석열 한일_관계 기시다_후미오 윤현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