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 현장의 첫번째 총책임자인 이임재 서울 용산경찰서장은 참사 직전까지 용산 대통령실 인근에서 ‘윤석열 대통령 퇴진 촉구’ 집회 현장을 통제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 자세히 읽어보기
2일 이태원 참사 희생자 추모공간이 마련된 이태원역 1번출구에서 이태원 파출소가 보인다. 참사 당일 정부와 경찰의 대응 방식에 커다란 문제점이 드러나면서 거센 비판이 일고 있다. 연합뉴스 이태원 참사 발생 4시간 전부터 “압사당할 것 같다”는 112 신고가 들어오는 등 위기 징후가 짙었지만, 경찰이 최초 신고가 접수된 지 5시간이 넘은 자정께 경찰력을 추가로 투입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경찰 수뇌부의 판단 착오에 대한 비판 여론이 커지고 있다. 경찰의 자체 수사도 신고를 접수한 서울경찰청이 용산경찰서에 지령을 내린 과정과 경력 투입이 늦어지게 된 이유를 집중적으로 들여다볼 것으로 보인다. 2일 취재를 종합하면, 서울경찰청의 추가 기동대 투입은 사망자가 이미 많이 발생한 자정 가까운 시간에 이뤄졌다. 사실상 수많은 희생자가 발생하게 된 원인을 제공한 셈이다.
윤 대통령이 사고 사실을 보고받은 시각보다 서울경찰청장과 경찰청장이 늦게 상황을 파악한 황당한 상황이다. 경찰이 소방당국·대통령실과 즉각 소통하는 대통령실 국정상황실이라는 ‘핫라인’이 구축돼 있음에도 경찰 수뇌부가 대통령실보다 1시간가량 늦게 사고 발생을 파악했다는 지점도 의문점이다.서울경찰청은 애초에 용산경찰서의 지원 요청이 늦었다는 입장이다.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용산경찰서가 서울경찰청에 기동대 지원 요청을 한 것은 사고가 발생한 지 1시간 넘게 지난 29일 밤 11시24분께였다”며 “요청을 받은 즉시 기동대 13개 중대 경력을 출동시켰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압사’를 경고하는 112 신고가 사건 발생 4시간 전부터 접수된 점을 볼 때 적절치 않은 해명으로 읽힌다. 현장에 출동할 수 있던 가용 경찰력이 부족했던 상황도 아니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정권 퇴진운동' 동향 파악 우선한 경찰...세월호 때와 비슷경찰, 이태원 참사 이틀 뒤 내부 문건 작성 / 11쪽 보고서…주요 시민단체 반발 분위기 자세히 적어 / '이태원 참사, 정권 퇴진 운동 끌고 가는 대형 이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112신고 빗발친 그시각, 경찰서장 '尹 퇴진' 집회 막았다시민 156명이 사망한 이태원 압사 참사 당시 경찰의 부실 대응 논란으로 대기발령된 이임재 서울 용산경찰서장이 참사 직전까지 용산 대통령실 인근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퇴진 촉구' 집회 현장을 통제한 것으로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경찰, '이태원 참사' 서울청 · 용산서 등 8곳 압수수색'이태원 참사' 부실 대응을 수사하는 경찰 특별수사본부가 오늘 서울경찰청과 용산경찰서, 용산구청 등 8곳에 대해 강제수사에 착수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