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비료용 요소 수입 다변화·가격 안정세” 수입 비중 큰 산업용 요소엔 “2개월치 재고”
수입 비중 큰 산업용 요소엔 “2개월치 재고” ‘요소수 품귀’ 사태를 빚었던 지난 2021년 11월11일 인천 중구 인천항 인근 주유소에서 한 화물차 운전기사가 요소수를 차량에 넣고 있다. 인천/김태형 기자 [email protected] 중국의 수출 통제로 ‘요소수 품귀 사태’가 2년 만에 재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산업용 요소의 대중국 수입 비중은 90%에 이른다. 정부는 중국에 확인한 결과 공식적인 수출 규제는 없는 상황이라며 진화에 나섰다. 기획재정부는 8일 브리핑에서 “주중 대사관 등 외교 라인을 통해 확인한 결과, 중국 정부는 공식적인 비료용 요소 수출 통제 조처를 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강종석 기재부 경제안보공급망기획단 부단장은 “중국의 화학 비료 업체 1곳만 비료용 수출 물량 축소 방침을 발표한 정도”라며 “현재 중국과의 관계도 안정적이기 때문에 과거와 같은 포괄적인 수출 제한 조처는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주중 한국대사관이 파악해 보니 중국 정부 차원의 대대적인 요소 수출 제한 조처는 없었다는 얘기다. 정부는 중국이 실제 비료용 요소 수출을 제한해도 국내 수급에 당장 큰 차질은 없다는 입장이다. 국내에서 쓰는 비료용 요소의 중국산 수입 비중이 2021년 65%에서 올해 17%로 낮아졌고, 현재 민간 기업과 농협이 보유한 비료용 요소 및 비료 완제품 보유 재고가 연간 필요 물량의 77.4%, 27.0% 수준인 만큼 연말까지 수급에 문제가 없을 거라는 판단이다. 강 부단장은 “비료용 요소는 카타르·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수입 비중이 현재 51%에 달할 정도로 수입 다변화가 이뤄지고 가격도 안정화하는 추세”라며 “향후 수급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했다. 이달 들어 중동산 비료용 요소 가격은 1톤당 360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20.8% 내린 상태다. 다만, 차량용 요소는 우려되는 부분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일진 논란’ 김히어라 출신 중학교 “학교명 보도돼 명예실추”김히어라 소속사 관련 의혹 부인“일진활동 안 했고, 폭력 가담 안 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일진’ 논란 김히어라 출신 중학교 “학교명 보도돼 명예 실추”김히어라 소속사 관련 의혹 부인“일진활동 안 했고, 폭력 가담 안 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부 “중국, 공식적인 요소 수출 통제 아냐…수급 문제 없다”중국 당국이 비료용 요소 수출의 중단을 지시했다는 보도와 관련, 정부가 '공식적인 수출 통제는 없는 상황'이라며 '중국과의 관계도 안정적'이라고 강조했다. 8일 기획재정부는 언론 브리핑에서 '주중 대사관 등 외교 라인을 통해 확인해 결과, 중국 정부는 공식적인 비료용 요소의 수출 통제 조처를 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강 부단장은 '비료용 요소는 수입 다변화가 이뤄졌고 가격도 안정화하는 추세'라며 '향후 수급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中, 요소 수출 중단 지시'...요소 대란 또 오나?[앵커]중국 정부가 자국 내 비료업체 일부에 요소 수출 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中, 요소 수출 중단 지시'...요소 대란 또 오나?[앵커]중국 정부가 자국 내 비료업체 일부에 요소 수출 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