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가부 폐지 정책’이 내 삶에 끼친 영향은···포스트잇에 담긴 목소리들

대한민국 뉴스 뉴스

‘여가부 폐지 정책’이 내 삶에 끼친 영향은···포스트잇에 담긴 목소리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46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2%
  • Publisher: 51%

지난 4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열린 한국여성대회에서 ‘바람’은 시민들로부터 윤석열 정부의 ‘여가부 폐지 정책’에 대한 의견을 쓴 포스트잇을 받았다.

인권운동네트워크 바람이 3월8일 여성의 날을 맞아 진행한 여가부 폐지 정책 관련 설문조사에서 모인 포스트잇들. ‘여가부는 최소한의 권리 보장을 위한 기구다’ 등이 적혔다. 바람 제공3월8일 여성의 날을 맞아 시민단체 인권운동네트워크 ‘바람’이 질문을 던졌다. 6~7일에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여가부 폐지에 반대하는 시민들은 구조적 성차별이 여전한 현실을 이유로 들었다. 지난 4일 한국여성대회 현장에 마련된 게시판에는 “성평등한 세상은 아직 오지 않았다”“여전히 여성은 안전과 평등을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등의 포스트잇이 붙었다. 온라인 설문조사에서 한 응답자는 “여전히 가부장제가 뿌리 깊다. 조금의 균형이라도 맞추려면 성평등을 위한 전담지원기구가 필수적이다”라고 적었다. 여가부가 폐지되면 나타날 삶의 변화를 묻자 ‘여성 인권 및 소수자 관련 정책이 후퇴할 것’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한 시민은 “성차별, 소수자와 약자에 대한 차별이 당연해지는 세상이 올 것 같아 두렵다”고 했다. “젠더감수성 없는 성폭력 피해지원” “한부모가정 등 취약계층이 방치될까 우려” 등의 의견이 붙기도 했다. 한 시민은 온라인 설문조사에서 실제로 일터에서 관련 예산이 삭감됐다며 “대부분의 사람이 복지가 아닌 개인 자산에 기대어 사는 사회가 될까 두렵다”고 적었다.지난달 27일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개정 법률에는 여가부 폐지가 포함되지 않았다. 명숙 인권운동네트워크 바람 활동가는 7일 통화에서 “ 끝났다고 안심할 것이 아니라 여전히 윤석열 정부가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설문조사를 기획했다”고 설명했다.

설문조사에는 175명이 참여했다. 대학생·교사·시민단체 활동가·지역 주민·돌봄노동자 등 다양한 이들이 설문조사에 응했다. 지난 4일 현장 게시판에도 포스트잇이 가득 붙었다. 명숙 활동가는 “작은 포스트잇에도 구체적으로 의견을 쓴 사람이 많았다”며 “시민들이 하고 싶은 얘기가 많았다는 걸 느꼈다”고 했다. 그는 “일부 여성단체와 인권단체만 여가부 폐지에 반대한다는 왜곡된 시선이 있는데, 그렇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 결과”라고 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kyunghyang /  🏆 1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美서 사육·도축·가공된 육류에만 '메이드인USA' 라벨 부착된다 | 연합뉴스美서 사육·도축·가공된 육류에만 '메이드인USA' 라벨 부착된다 | 연합뉴스(워싱턴=연합뉴스) 강병철 특파원=바이든 행정부가 미국 내 생산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가운데 미국 농림부가 육류 제품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자해외교' 대통령, 이러다 일본인 땅 찾아주자는 말 나올라'자해외교' 대통령, 이러다 일본인 땅 찾아주자는 말 나올라'자해외교' 대통령, 이러다 일본인 땅 찾아주자는 말 나올라 3.1절_기념사 한일관계 윤석열_대통령 안호덕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토블론 초콜릿의 그곳…‘마터호른 인증샷’ 이제 못 합니다토블론 초콜릿의 그곳…‘마터호른 인증샷’ 이제 못 합니다미국 식품기업 몬덜리즈 인터내셔널은 자사 제품인 토블론 포장지에서 마터호른 그림을 빼기로 결정했습니다. 🔽 자세히 읽어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학폭 원인은?…학생 '가해자 선도 부족' 교사는 '이것' 꼽았다 | 중앙일보학폭 원인은?…학생 '가해자 선도 부족' 교사는 '이것' 꼽았다 | 중앙일보폭력에 대한 '학교의 역할'에 대해서도 학생과 교사의 인식 차이가 컸습니다.\r학폭 학교 학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9 06:1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