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테쉬’ 이용자 “가격 좋지만 품질·안전 불만”

‘알테쉬’ 이용자 “가격 좋지만 품질·안전 불만” 뉴스

‘알테쉬’ 이용자 “가격 좋지만 품질·안전 불만”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32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6%
  • Publisher: 51%

국내 소비자들이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중국계 전자상거래 플랫폼(C커머스)에 대해 가격 외에는 별다른 장점을 찾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시민모임은 지난달 전국 만 ...

소비자시민모임은 지난달 전국 만 18세 이상 소비자 가운데 최근 1년 이내에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쉬인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41.8%만 만족한다고 답했다고 23일 밝혔다.

상품 가격 만족 비율이 80.8%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이외 부문은 20∼30%대에 머물렀다. 세부적으로 보면 구매·배송 안내 32.2%, 배송 상태 25.4%, 배송 기간 24.0% 등이다. 상품 정보와 상품 품질 만족도는 최하위권이었다.C커머스를 이용하면서 불만 접수나 피해 상담을 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비율은 27.2%였으며 연령별로는 40∼50대가 가장 많았다. 상담 사유는 상품 배송 관련 문제가 53.7%로 가장 많았고 반품 취소 후 환불 문제가 42.6%, 구매 후 반품 취소 관련이 28.7% 등이었다. 소비자 대다수는 피해 상담에도 어려움을 겪었다. 피해 상담 경험이 있는 소비자의 64%는 전화 상담이나 환불 절차, 상담 결과 확인 등이 쉽지 않았다고 답했다. 상담 결과에 만족한다는 응답도 37.5%에 불과했다.

C커머스를 계속 이용할 의향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62.0%가 긍정적으로 답했다. 그 이유는 ‘가격이 저렴해서’가 84.2%로 절대다수를 차지했고 ‘상품이 다양해서’가 11.3%로 나타났다.국내 소비자들이 C커머스에서 가장 많이 구입하는 상품은 생활용품이었고 의류, 가전제품, 액세서리, 스포츠용품 등의 구매 비율도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kyunghyang /  🏆 1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알테쉬’ 직구 열풍에 슬며시 웃는 ‘이곳’...부진 예상 깨고 실적 늘었다‘알테쉬’ 직구 열풍에 슬며시 웃는 ‘이곳’...부진 예상 깨고 실적 늘었다알테쉬 직구물량 늘어나자 비수기에도 국제화물 ‘쑥’ 대한항공 1분기 화물 운송 전년 동기 대비 7.4% 증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설] 국내 시장 흔드는 알리·테무, 공정경쟁 위한 규제 필요하다[사설] 국내 시장 흔드는 알리·테무, 공정경쟁 위한 규제 필요하다‘알테쉬(알리익스프레스·테무·쉬인)’로 불리는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이 국내 유통시장을 급속도로 잠식하고 있다. 이들 중국 업체들은 압도적인 가격경쟁력을 내세워 공산품을 넘어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대문구 전국 최초 재개발·재건축 백서 펴냈다서대문구 전국 최초 재개발·재건축 백서 펴냈다재개발 28곳·재건축 12곳서 추진 북아현뉴타운 입지 좋지만 갈등 변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싸다고 샀다가 실망만' 한풀꺾인 '알테쉬' 직구'싸다고 샀다가 실망만' 한풀꺾인 '알테쉬' 직구통계청 1분기 통계 분석유해성분·배송 등 불만 폭증전분기대비 구매 12% 감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싸다고 샀는데 실망, 그냥 버렸어요”...알리·테무 직구, 한풀 꺾였다“싸다고 샀는데 실망, 그냥 버렸어요”...알리·테무 직구, 한풀 꺾였다통계청 1분기 통계 분석 유해성분·배송 등 불만 폭증 전분기대비 구매 12% 감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내가 부자라고? 헛웃음만”…연봉 8400만원 넘는데 “난 하층민” 왜?“내가 부자라고? 헛웃음만”…연봉 8400만원 넘는데 “난 하층민” 왜?연소득 8400만원 넘는 가구 12% “하층” 고소득층의 경제적 지위 하락 ‘불만’ 탓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3 17:4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