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깡통주택’ 5곳 중 1곳 보증금 못 돌려줘…사고 63%가 다세대

대한민국 뉴스 뉴스

‘깡통주택’ 5곳 중 1곳 보증금 못 돌려줘…사고 63%가 다세대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hanitweet
  • ⏱ Reading Time:
  • 50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3%
  • Publisher: 53%

올해 상반기 중 부채비율이 90%를 넘는 ‘깡통주택’ 5곳 중 1곳에서 집주인이 전세보증금을 제때 돌려주지 못해 보증 사고가 ...

올해 상반기 중 부채비율이 90%를 넘는 ‘깡통주택’ 5곳 중 1곳에서 집주인이 전세보증금을 제때 돌려주지 못해 보증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깡통주택의 보증 사고율은 1년 6개월 새 3배 가까이 늘었다.

8일 주택도시보증공사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맹성규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를 보면, 올해 6월 말 기준 전체 보증 사고액은 1조8525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부채비율 90%를 초과하는 주택의 보증 사고액은 1조3941억원으로 75.3%를 차지했다. 부채비율은 집주인의 주택담보대출 등 담보권 설정 금액과 전세 보증금을 합한 금액을 집값으로 나눈 수치다. 보통 이 비율이 80%를 넘으면 집을 처분해도 세입자가 보증금을 온전히 돌려받지 못할 수 있어 깡통주택으로 본다. 부채비율 90% 초과 주택의 보증 사고율은 22.0%였다. 허그의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보험에 가입한 부채비율 90% 초과 주택 중 22%에서 보증금 미반환 문제가 생겨 허그가 세입자에게 전세금을 대신 돌려주게 됐다는 뜻이다. 부채비율 90% 초과 주택의 보증 사고율은 2018년 2.9% 수준이었으나 2020년 6.8%, 2021년 7.8%, 지난해 12.1%로 가파르게 늘었다.

특히 올해 6월 말 기준 부채비율 90% 초과 주택의 보증 사고액 중 62.5%가 다세대주택에서 발생했다. 2018년엔 깡통주택 보증 사고액 중 다세대주택이 차지하는 비중이 4.4%에 그쳤고, 아파트가 90.5%를 차지했다. 그런데 다세대주택 비중이 2019년 25.7%로 급증하더니 2020년 55.3%, 2021년 67.3%, 지난해 66.8%를 기록했다. 이렇게 되자 정부는 지난 1월 부채비율이 90%를 초과하는 전세계약의 전세금 안심대출보증 한도를 전세보증금의 80%에서 60%로 축소했다. 대출을 많이 낀 주택이라면 세입자의 전세금 대출보증 한도를 줄여 애초에 전월세 계약을 맺지 못하게 하겠다는 취지였다. 이런 조치에 더해 정부가 부채비율 등 깡통주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안심전세 앱 등을 통해 더 충실히 제공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맹성규 의원은 “전세사기가 반복되지 않도록 정보 제공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정부가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hanitweet /  🏆 1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부채비율 90% 이상 ‘깡통주택’ 5곳 중 1곳은 전세보증금 못 돌려줬다부채비율 90% 이상 ‘깡통주택’ 5곳 중 1곳은 전세보증금 못 돌려줬다부채비율이 90%를 넘는 ‘깡통주택’ 5곳 중 1곳은 집주인이 전세보증금을 제때 돌려주지 못해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깡통주택' 5곳 중 1곳은 전세금 못 돌려준 보증사고'깡통주택' 5곳 중 1곳은 전세금 못 돌려준 보증사고부채비율이 90%를 넘는 이른바 '깡통주택' 5곳 가운데 1곳에서 집주인이 전세보증금을 제때 돌려주지 못해 보증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깡통주택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학교 5곳 중 1곳 '산사태 위험'…교육부 예방대책은 '느림보'[단독] 학교 5곳 중 1곳 '산사태 위험'…교육부 예방대책은 '느림보'[앵커]지난 7월 집중호우로 인해 산 인근에 위치한 일부 학교는 산사태로 흙더미가 쏟아지고 건물이 무너지는 피해를 입었습니다. 정부 조사 결과, 전국 학교 5곳 중 1곳은 이 같은 산사태 위험에 노출돼 있는 것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유치원은 ‘교권 보호 사각지대’?···교육청 17곳 중 12곳 교보위에 유치원 교사 없다[단독]유치원은 ‘교권 보호 사각지대’?···교육청 17곳 중 12곳 교보위에 유치원 교사 없다“장기결석한 한 유아의 학부모가 동급생 2명을 학폭 가해자로, 교사를 아동학대범으로 지목하고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폐암 유발 급식실 환기시설, ‘개선 필요’ 6곳 중 1곳만 교체[단독] 폐암 유발 급식실 환기시설, ‘개선 필요’ 6곳 중 1곳만 교체일선 학교 급식실에서 일하는 급식 노동자의 폐암 발병이 사회문제화한 뒤 제기된 환기시설 교체작업이 당초 교육부가 발표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 중국 기업 42곳 무더기 제재…중 “모든 조처 취할 것”미, 중국 기업 42곳 무더기 제재…중 “모든 조처 취할 것”미국이 러시아의 군사 부문을 지원했다는 이유로 중국 기업 40여곳을 무더기로 제재했다. 중국은 모든 필요한 조처를 취한 것...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3-29 16:0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