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나라살림 적자 규모를 내년에 국내총생산(GDP) 대비 3% 미만(2.9%)으로 낮추고 2028년엔 비율을 2.4%까지 끌어내리겠다는 윤석열 정부의 ‘건전재정’ 목표는 달성되기 어렵다는 국회 예산정책처 평가가 나왔다. 정부의 세입 전망은 낙관적이고, 지출 전망은 보
연간 나라살림 적자 규모를 내년에 국내총생산 대비 3% 미만으로 낮추고 2028년엔 비율을 2.4%까지 끌어내리겠다는 윤석열 정부의 ‘건전재정’ 목표는 달성되기 어렵다는 국회 예산정책처 평가가 나왔다. 정부의 세입 전망은 낙관적이고, 지출 전망은 보수적이어서 기대만큼 적자 규모를 줄이기 어렵다는 것이다.
29일 예정처가 펴낸 ‘2024∼2033년 중기재정전망’ 보고서를 보면, 예정처는 지디피 대비 관리재정수지 적자 비율이 올해 3.8%에서 내년 3.03%로 개선된 뒤 줄곧 3%대를 유지하다 2029년 2.9%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관리재정수지는 사회보장성 기금 수지 등을 제외하고 나라살림의 실질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지표다. 정부는 이 수지의 적자 폭을 국내총생산 대비 3% 미만으로 유지하는 재정준칙의 법제화를 추진하고 있다. 정부는 내년에 이 목표를 달성하는 것으로 예산안을 편성해 국회에 제출했는데, 예정처 전망에 따르면 목표 달성이 4년 늦는 셈이다.
예정처의 적자 전망이 기재부보다 어두운 것은, 기재부의 총수입 전망은 낙관적이고 총지출 전망은 더 보수적이기 때문이다. 국세수입 측면에서 기재부가 예상한 2024∼2028년 5년 동안 국세수입 총액은 예정처 추산보다 17조원 많다. 해마다 3조1천억원에서 5조원가량 차이가 난다. 이는 정부가 국세수입에 연동되는 경상성장률 등 경제전망을 낙관적으로 본 데 기인한다. 당장 내년도 경상성장률 전망치로 정부는 4.5%를, 예정처는 4.2%를 들었다.반대로 지출 면에서 정부는 예산 통제를 크게 강화한 보수적인 계획을 내놨다. 대표적인 경직성 예산 지출인 복지분야 의무지출을 보면, 정부는 2024년 169조2천억원에서 2028년 214조1천억원으로 연평균 6.1% 증가하는 것으로 재정운용계획을 짰다. 그러나 예정처가 내다 본 복지분야 의무지출은 같은 기간 171조3천억원에서 229조5천억원으로 연평균 7.2% 늘어난다.
건전재정을 강조하는 정부 노력과 달리, 목표 달성이 쉽지 않은 이유로 전문가들은 무너진 세입 기반을 지적한다. 윤석열 정부 들어 해마다 감세 정책이 추가되고, 마른 수건 쥐어짜는 지출 구조조정은 쉽지 않은 일이기 때문이다. 이상민 나라살림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윤석열 정부의 감세 정책의 효과는 이번 정부에서 그치지 않고 다음 정부에도 이어진다는 점에서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며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선 세입 기반 확대를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코스닥 도전’ 쓰리빌리언 “북미 희귀유전질환 진단 시장 진출”2027년 흑자전환 목표 내달 5~6일 일반청약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션인파서블, 탑건, 닌자거북이… ” 한국에 아시아 최초로 이 테마파크 만든다파라마운트 설계 참여…오는 2029년 개장 목표 “최첨단 미디어 기술로 캐릭터 세계 실감나게 구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네타냐후 “정확하고 강하게 이란 공격…모든 목표 달성”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27일(현지시간) 이란 군사시설에 대한 보복 공습과 관련해 “공격은 정확하고 강력했으며 모든 목표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또 요아브 갈란트 이스라엘 국방장관은 하마스에 붙잡혀 있는 인질들을 구하기 위해 “고통스러운 양보”가 필요하다고도 말했다. 이는 그동안 미국을 비롯한 서방 국가들의 압박 속에도 ‘강공 일변도’ 기조를 유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스라엘, 이란 수도 테헤란·남부 시라즈에 2차 보복 공격“군사시설만 목표”…확전 우려한 美정부 의식 이란 “방공시스템 작동…공격에 대응할 준비” “이스라엘의 보복 공격은 하룻밤에 끝날 듯”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진짜 최저임금을 42%나 올려준다고?”…20년 넘게 묶였던 ‘이 나라’ 총선 앞두고 포퓰리즘 공약총선 앞두고 주요 정당 공약으로 ‘최저임금 1500엔 5년내 달성’ 日최저임금 선진국 최저수준 20년 넘게 임금 수준 그대로 격차해소 위해 인상 공감대 불구 현실적 논의 빠진 공약에 우려 제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군의날 '80억짜리 퍼레이드' 해야 하나[이충재의 인사이트] 2년 연속 군사 퍼레이드, 전두환 이후 처음...정부 재정 부족한데 작년 100억, 올해 80억 지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