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파른 고령화’ 한국, 50년 뒤 ‘노년부양비’ 세계 1위 전망

대한민국 뉴스 뉴스

‘가파른 고령화’ 한국, 50년 뒤 ‘노년부양비’ 세계 1위 전망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hanitweet
  • ⏱ Reading Time:
  • 26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4%
  • Publisher: 53%

고령화 노년부양비 50년 뒤 한국은... 가파른 고령화로 노년부양비에서 세계 1위를 기록할 전망입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생산인구 1명이 노인 1명 부양 게티이미지뱅크. 2070년에는 한국이 전 세계에서 노인 인구 부양비용을 가장 많이 부담하는 나라가 된다는 전망이 나왔다. 50년 뒤 우리나라는 65살 이상 고령인구가 전체의 46.4%를 차지해, 생산연령인구 1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하게 된다. 남한과 북한을 합하면 고령화 속도는 다소 늦춰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5일 발표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을 보면 세계인구가 2022년 79억7천만명에서 2070년 103억명으로 증가한다. 이미 2020년에 ‘인구 정점’을 지난 한국은 총인구가 2022년 5200만명에서 2027년 3800만명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 통계청 2022년 9월 한국은 인구 감소폭 만큼이나 고령화 진행 추이도 압도적일 전망이다. 한국은 2022년 기준으로 고령 인구 구성비가 17.5%로, 전 세계에서 가장 고령화가 많이 진행된 대륙인 유럽의 평균보다는 낮다.

자료: 통계청 2022년 9월 가파른 고령화로 2070년에는 한국이 노년부양비에서 세계 1위를 기록할 전망이다. 노인 인구에 대한 한 사회의 부양 비용 정도를 나타내는 ‘노년부양비'는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고령 인구의 비율로 계산된다. 2022년 기준 한국의 노년부양비는 24.6명으로 전 세계에서 56위인데, 2070년에는 100.6명으로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부담을 지게 된다. 생산연령인구 1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하는 꼴이다. 50년 뒤 노년부양비가 100명을 초과하는 나라는 한국과 인구 1만명도 안 되는 작은 섬나라 생바르텔레미, 둘 뿐이다. 남한과 북한을 합한 총인구는 2022년 7800만명으로 2028년에 정점을 찍고, 2070년에 6100만명으로 감소한다. 남·북한을 합할 경우 고령화 속도는 다소 늦춰진다. 남·북한 고령 인구 비율은 2070년에 38.5%로 남한과 견줘 7.9%포인트 낮아진다. 북한은 합계출산율이 2021년 기준 1.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hanitweet /  🏆 1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50년 뒤 한국 인구 절반이 '노인'된다 | 연합뉴스50년 뒤 한국 인구 절반이 '노인'된다 | 연합뉴스(세종=연합뉴스) 박원희 기자=50년 뒤 세계 인구 5명 중 1명이 고령이 될 때 한국은 절반에 가까운 인구가 고령일 것으로 예상됐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1세 중국 여성은 '한푸' 를 입고 거리를 누빈다''21세 중국 여성은 '한푸' 를 입고 거리를 누빈다'중국에서 서방에 대한 반감이 복고 감성을 자극해 한푸의 위상을 높였다는 분석입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올해 원화 가치, 31개 주요 통화 중 8번째로 많이 하락 | 연합뉴스올해 원화 가치, 31개 주요 통화 중 8번째로 많이 하락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구정모 기자=올해 들어 세계 주요 통화 가운데 한국 원화 가치가 미국 달러화 대비로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년 내내 뜨거운 LG 방망이…대역전 1위 도전의 최대 무기 | 연합뉴스1년 내내 뜨거운 LG 방망이…대역전 1위 도전의 최대 무기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장현구 기자=프로야구 LG 트윈스가 1년 내내 뜨거운 방망이를 앞세워 대역전 1위 도약에 도전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8 00:2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