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임 '민주화운동 동지회'(가칭)를 발족하는 이유가 있었습니다.\r86운동권 함운경
1970~80년대 민주화 운동을 주도했던 86 운동권 인사들이 오는 8월 15일 제78주년 광복절을 맞아 “과거의 그릇된 행태를 반성하고 미래 세대에게 새 판을 열어주자”는 취지의 모임 ‘민주화운동 동지회’를 발족한다. 운동권 출신이 대규모로 모여 “과거를 반성하고 진영 논리를 타파하자”는 취지의 모임을 꾸리는 건 처음 있는 일이다.
서울대 삼민투 위원장으로 1985년 미국 문화원 점거 농성을 주도했던 함운경씨는 7일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민주화 운동은 1987년 체제 도입으로 그 역할을 마쳤다. 하지만 일부 운동권은 30여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민주화 상징을 독점하며 진영 논리로 나라를 분열시키고 있다”며 “운동권이 만든 ‘쓰레기’는 운동권이 치워야 한다는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모이기로 했다”고 말했다. 최근 일련의 만남을 가지면서 이들은 ‘결성 제안문’은 주대환 부회장 주도로 작성됐다. 주 부회장은 통화에서 “서로를 향한 증오의 언어가 난무하고 반지성의 진영 정치가 지속되고 있다”며 “가짜뉴스와 괴담이 난무하는 극단의 대결 이면에 이른바 ‘운동권 정치’가 내재된 것 아닌가. 이제는 끝내야 한다”고 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