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 부른 '초전도체' 검증…관건은 타 연구팀의 '재현' SBS뉴스
꿈의 물질이라고도 불리는 상온초전도체를 한 국내 기업이 개발했다고 발표한 이후, 이게 과연 진짜인지를 놓고 여러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정구희 기자와 함께, 핵심 쟁점 짚어보겠습니다.[정구희 기자 : 그렇습니다. 현재 초전도체들의 특징 중 하나는 자석 위에 떠오른다는 겁니다. 마이스너 효과라고도 하는데 자석에 반발한다 해서 반자성을 갖는다고 말합니다. 연구팀이 공개한 LK-99의 영상을 한번 보시면 초전도체의 한쪽은 떠 있는데 지금 한쪽은 자석에 붙어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심지어 자석에서 잠깐 이렇게 달라붙는 순간도 확인할 수가 있는데요. 그래서 이미 초기부터 학계에서는 회의적인 반응이 좀 많았습니다. 이게 반자성으로 공중에 뜬 게 아니라 오히려 자석에 잘 달라붙는 강-자성 물질이 있어서 자석 한쪽에만 붙어 있는 거일 수도 있다는 겁니다.][정구희 기자 : 과학에서는 무엇보다 다른 연구팀들이 재현하는 게 중요한데 중국의 화중과기대의 연구가 좀 힘을 실어줬던 것 같습니다.
][정구희 기자 : 반자성은 초전도체의 특징들 중 하나일 뿐입니다. 반자성이 있다고 해서 초전도체인 건 아닙니다. 사진 하나를 준비했는데요. 이게 열분해 흑연이라고 하는데 잠깐 보시면 역시 자석 위에 온전하게 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열분해 흑연을 초전도체라고 하지 않는 건 전기적 저항이 0이 되지 않아서입니다. 초전도체의 핵심은 전기 저항이 0이 된다는 건데 앞서 소개해드린 중국 연구팀들도 이 현상은 안 나타났다고 했습니다. 결국 전기적 저항이 0, 이걸 증명했다고 주장한 건 현재 퀀텀에너지연구소의 첫 논문 2편뿐입니다.][정구희 기자 : 퀀텀 측은 당초 금요일, 즉 내일 연구 성과를 공개할 뜻을 비쳐 왔었는데 지금은 준비 중이라는 원론적인 답변을 하고 있습니다. 시료를 제공해서 전기적 저항을 측정해 본다면 문제가 비교적 쉽게 해결될 것인데 검증단도 지금 이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챗GPT 밀어낸 한국발 ‘초전도체’…전 세계 동시다발 검증초전도체를 개발했다는 내용을 담은 최근 한국 연구진의 논문을 둘러싸고 국제 과학계가 한바탕 술렁이고 있습니다. 해당 논문이 노벨상의 영광을 향해 질주해갈지, 아니면 학계의 검증 문턱 앞에서 멈춰버릴지 동료 학자들의 검증 결과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영상]'韓 개발한 초전도체' 中이 검증…'대통령 이석배' '석배형' 밈 화제[이슈시개]최고의 과학적 성과라고 불렸던 챗GPT가 LK-99 등장으로 당황하는 모습을 표현한 밈까지... 챗GPT 상온상압 초전도체 마이스너 꿈의물질 밈 석배형 이석배 LK99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LK-99 검증위 '논문·영상서 마이스너 효과 없어 초전도체 아냐'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국내 초전도체 전문가들로 구성된 한국초전도저온학회는 최근 국내 한 연구소에서 상온 초전도체라고 주장한 물질 L...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초전도체는 어디에?…전 세계 112년 시도 짚어보니보통 온도와 보통 기압 상태에서 전기저항이 없는 '초전도체'를 국내 기업이 개발했다고 주장해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그동안 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