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무-2C 낙탄 원인, 관성항법장치 센서 오류 결론 합동조사단, 시뮬레이션 3만 회 이상 실시 현무-2C 사격 절차 정상 실시…해킹 징후도 없어 軍, 내년 3월까지 현무-2C 미사일 전수 조사
이런 센서 오류는 매우 이례적이라고 하는데, 군 당국은 해당 미사일을 전수조사하고 비행안전장치를 개발해 재발을 막는다는 방침입니다.지난 10월 4일, 북한의 중거리 탄도미사일 도발에 대응해 발사한 현무-2C 지대지탄도미사일이 발사 직후 부대 안으로 추락한 모습입니다.미사일의 각도와 속도, 위치 등 비행 상태를 측정하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오류로 잘못된 값이 유도조정장치와 구동장치로 전달되면서 추락으로 이어졌다는 겁니다.
사고 당시 미사일의 속도나 고도, 궤도 등 비행정보를 실시간으로 기록해둔 계측 값이 없어서 합동조사단은 발생 가능 오류 상황을 가정한 시뮬레이션을 3만 회 이상 수행한 뒤에야 이같이 결론 내렸습니다.군 당국은 이달 말부터 내년 3월까지 현무-2C 미사일 전수 조사에 착수할 방침입니다.군 당국은 또, 미사일 발사 장소로 사용되고 있는 강릉 군부대가 인구밀집 지역에 위치해 국민안전에 상당한 위협이 되는 만큼 미사일 사격 장소를 다른 곳으로 옮기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메일] [email protected]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현무' 낙탄사고, 자세측정장치 오류…비행안전장치 개발키로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김지헌 기자=지난 10월 발생한 현무-2C 탄도미사일의 낙탄 사고 원인은 미사일의 자세를 측정하는 장치인 '자이로스코프'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울대·고대 연구진, 육안으로 카이랄성 분자 구분 센서 개발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문다영 기자=국내 연구진이 분자의 카이랄성(chirality)을 맨눈으로 구분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태원 참사현장 CPR, 최적 수준 아닌 것 많았다'CPR 심폐소생술 핼로윈 핼로윈 참사 당시 일반인들이 사고 현장에서 자발적으로 실시했던 CPR(심폐소생술)에 대해 '수준이 최적이 아닌 경우가 많았다'는 분석이 나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춘천·원주, 청년인구 유입 증가... 부울경 유출 높아춘천·원주, 청년인구 유입 증가... 부울경 유출 높아 인구_증가 청년_인구 청년층_유입 한림미디어랩 김정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