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영조가 재위하던 시점인 1759년에 작성된 국가 천문 기록서적인 성변측후단자를 보면 1759년 왕실 산하의 천문 담당 관청인 ‘관상감’에서는 총 35명의 관료가 25일간 핼리혜성을 관측했는데, 이동 경로와 위치, 밝기, 색깔, 형태, 꼬리 길이 등을 자세히 기록했다.
조선시대인 1759년 작성된 ‘성변측후단자’에 핼리혜성 관측 내용이 기록돼 있다. 글뿐만 아니라 그림으로도 핼리혜성의 모습을 묘사했다. 한국천문연구원 제공조선시대에 국가 차원에서 공식 발간된 핼리혜성 관측 기록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하는 일이 추진된다. 핼리혜성은 17~18세기에 활동한 영국 천문학자인 에드먼드 핼리가 주기적으로 지구를 찾아온다는 사실을 처음 밝혀냈는데, 비슷한 시기에 지구 반대편에 있는 조선에서도 핼리혜성의 출현 위치와 모양 등을 자세히 관측했던 것이다. 국내 학계에선 2025년 세계기록유산 등재 신청을 목표로 삼았다.
성변측후단자를 보관하고 있는 연세대와 함께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천문학회, 한국우주과학회가 ‘성변측후단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추진위원회’를 구성한다. 목표로 하는 등재 신청 시점은 2025년이다.성변측후단자를 보면 1759년 왕실 산하의 천문 담당 관청인 ‘관상감’에서는 총 35명의 관료가 25일간 핼리혜성을 관측했는데, 이동 경로와 위치, 밝기, 색깔, 형태, 꼬리 길이 등을 자세히 기록했다. 실제로 성변측후단자에는 핼리혜성을 두고 “북극에서의 각거리는 116도였다. 형태나 색깔은 어제와 같았다. 꼬리의 길이는 1척 5촌이 넘었다”는 등의 대목이 나온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독립야구단 경기도리드 2023년 시즌 시작독립야구단 경기도리드 2023년 시즌 시작 경기도 독립야구단 경기도리그 김동연 박정훈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을지문덕 살수대첩, 물 공격 없었다' 물의 비밀 폭로한 박사 | 중앙일보'신채호의 '조선상고사'엔 수공으로 기록… 하지만 현재의 기술로도 힘들다'\r물 세계물의날 을지문덕 살수대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언제라도 힘들 때면 내게 전화를'... '꽃다지'도 좀 살자'언제라도 힘들 때면 내게 전화를'... '꽃다지'도 좀 살자 다지 희망의_노래 송경동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