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발 8천m 에베레스트 등정 캠프에 인간이 흘린 미생물
[Baker Perry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에베레스트와 세계 제4봉인 로체산 사이 수직 능선인 사우스콜은 강한 바람으로 눈이 쌓이지 않아 에베레스트 등정의 마지막 캠프가 차려지는 곳으로, 매년 수백명의 산악인이 찾는다. 이런 높은 고도의 혹독한 환경에서 인간이 남기고 간 내한성 미생물이 죽지 않고 언 상태로 수십, 수백 년간 휴면 상태에 있다는 것이다.미국 볼더 콜로라도대학에 따르면 이 대학 생태·진화생물학 교수 스티브 슈미트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사우스콜 캠프 주변에서 수거한 토양의 미생물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를 냉지 환경 학술지인 '남·북극 및 알프스 연구'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2019년 5월 지구에서 가장 높은 곳에 기상관측소를 설치하기 위해 사우스콜로 향한 애팔래치아주립대학 지리학 교수 베이커 페리 박사를 통해 캠프 주변의 토양 시료를 확보해 차세대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등을 통해 토양 내 거의 모든 미생물의 유전자를 밝혀냈다.이 중 가장 많은 것은 혹독한 추위와 강한 자외선을 견딜 수 있는 진균의 한 속인 '나가니시아'였으며, 피부와 코의 가장 흔한 세균인 포도상구균과 입 안 세균인 연쇄상구균 등의 유전자도 발견됐다.[Schmidt et, al. Arctic, Antarctic, and Alpine Research 논문 캡처]
연구팀은 인간이 재채기 등을 통해 미생물을 쉽게 전파한다는 점에서 인간과 연관된 미생물이 캠프 주변 토양에서 발견된 것은 그리 놀라운 것은 아니나 입이나 코 등 따뜻하고 습한 환경에서 자라는 특정 미생물이 히말라야의 혹독한 환경에서 휴면기를 이어가며 생존할 만큼 탄력적이라는 부분은 인상적이라고 밝혔다.인간이 사우스콜에 흘린 미생물은 죽거나 휴면 상태로 들어서고, 나가니시아와 같은 미생물은 볕이 잘 들고 습기가 있는 등의 생존 조건이 맞으면 일시적으로 성장까지 할 수 있는 것으로 제시됐다. 연구팀은 인간이 에베레스트 꼭대기로 가져다 놓은 미생물이 주변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예측했다. 하지만 이는 나중에 화성을 비롯한 다른 행성에 인간이 진출할 때 그곳에 서식할 수도 있는 생명체에는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고 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인간이 된 곰이 마약조직을 소탕한다고? 발칙한 상상인간이 된 곰이 마약조직을 소탕한다고? 발칙한 상상 웅남이 박성광 최민수 박성웅 이이경 이선필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작년 연봉 51억원 받아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최평천 기자=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이 작년 51억8천416만원의 보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北 '어제 미사일사격 훈련…장연서 지대지 탄도미사일 2발 사격'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박수윤 기자=북한은 전날 황해남도 장연군 일대에서 지상대지상(지대지) 전술탄도미사일 2발을 사격했다고 밝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가덕도신공항, 엑스포 맞춰 2029년말 개항…육해상 매립식 건설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최평천 기자=가덕도신공항이 2030부산세계박람회(엑스포) 일정에 맞춰 2029년 12월 조기 개항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포스코, 정부 강제징용 해법발표후 기업서 첫 출연…40억원 납부(종합2보)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홍국기 기자=포스코가 정부의 강제징용 해법 발표 이후 국내 기업 가운데 처음으로 기부금을 출연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