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 지향의 접근, ‘야마’를 버리고 복잡한 내러티브를 끌어내라

대한민국 뉴스 뉴스

해결 지향의 접근, ‘야마’를 버리고 복잡한 내러티브를 끌어내라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mediatodaynews
  • ⏱ Reading Time:
  • 58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6%
  • Publisher: 63%

[편집자 주] ‘솔루션 저널리즘 현장을 가다’ 아홉 번째 순서로 솔루션 스토리텔링 전략을 사례와 인터뷰 중심으로 살펴봅니다.한국 기자들은 ‘야마’에 집착한다. ‘야마’는 ‘산(山)’이라는 뜻의 일본 말에서 유래한 언론계 속어지만 단순히 기사의 주제라는 의미를 넘어 기자의 관점이나 프레임의 의미로 쓰이기도 하고 핵심 메시지를 강조해야 한다는 의미로 쓰이는 경우도 많다. 정확한 정의도 없고 실체도 모호하지만 ‘야마’가 명확한 기사가 좋은 기사라고 보는 학습된 편견이 한국 언론을 지배하고 있다.한겨레 기자 박창섭은 2012년에 출간한 ‘

[편집자 주] 우리에게는 많은 문제가 있습니다. 문제를 드러내는 것이 언론의 역할이고 문제를 정확하게 인식해야 해법을 찾을 수 있지만 여기에서 멈추면 우리의 질문은 “세상은 왜 이 모양이지?”에서 멈추게 되겠죠. 솔루션 저널리즘은 문제를 벗어나는 게 아니라 문제를 더 깊이 파고 들어 문제에 대한 접근 방식이 달라져야 한다는 제안입니다. 미디어오늘은 기획 연재 '솔루션 저널리즘 현장을 가다' 시리즈를 통해 세계 여러 나라의 솔루션 저널리즘의 실험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솔루션 저널리즘 현장을 가다’ 열세 번째 순서로 솔루션 스토리텔링 전략을 사례와 인터뷰 중심으로 살펴봅니다.

둘째, 모순을 파고 들면서 본질을 파악한다. “이 이슈에서 제대로 이야기되고 있지 않은 게 뭐라고 생각하세요?”라고 묻는다. “좀 더 말해주세요”라고 말하고 귀 기울여 듣는다. “그러니까 이런 말씀이시죠?” 인터뷰이의 말을 요약해서 확인을 받는다. 그 과정에서 명확하지 않은 부분을 확실하게 만들고 신뢰를 확보한다. 중요한 것은 동의가 아니라 이해다. “제가 이해한 게 맞나요?”라고 물으면서 거듭 확인을 하는 게 좋다.넷째, 서로의 확증 편향을 깨야 한다. 인터뷰 상대방에게 그렇게 확신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묻고 반대되는 주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이야기해 보라고 할 수 있다. 인터뷰어 역시 스스로의 편견을 인식하고 의도적으로 다른 이야기에 스스로를 노출할 필요가 있다.캐나다의 인터넷 신문 나르왈의 에디터 샤론 라일리는 폐쇄 직전의 탄광 노동자들을 만난 경험을 다음과 같이 소개했다.

물론 나르왈의 기사가 풍력이나 태양열 발전소 대신 화력 발전소를 계속 유지해야 한다는 결론으로 흐르고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단계적으로 화력 발전을 폐지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지적은 의미 심장하다. 많은 나라들이 화력 발전소를 단계적으로 줄이면서 노동자들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사회적 타협의 지점을 찾고 있다. 재생 에너지 분야에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고 노동자들의 재교육을 지원하는 것도 단계적 해법 가운데 하나다.“기사에 나타난 한 개인의 이 같은 입체성은 독자들이 문제를 해석하는 이분법에서 벗어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 나와 다른 시각을 가진 이들이 불가해한 존재가 아니라 나름의 합리성과 선한 의도를 지닌 존재라고 인식할 수 있는 토대가 된다. 이처럼 갈등 상황과 이에 얽힌 이해 당사자들을 흑백 논리와 몇몇 짧은 단어로 규정하는 습관에서 벗어나면 언론 보도가 사회적 갈등과 집단의 상호 불신을 지속적으로 부추기는 매개로 되풀이되는 과정을 끊어낼 수 있다.

“우리가 발견한 것은 양극화가 심화되고 갈등이 격화될수록 많은 중요한 이슈들이 지나치게 단순하게 소비된다는 것입니다. 사람들의 뉴스에 관심이 없다고 생각하게 되기 쉬운데 격렬한 갈등 상황에서 매우 정상적인 행동입니다. 극단적인 갈등 국면에서는 전통적인 저널리즘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도 있었습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mediatodaynews /  🏆 8.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단독] 참사 119신고→병원 평균 2시간34분…최대 7시간도[단독] 참사 119신고→병원 평균 2시간34분…최대 7시간도인파와 불법주차로 인해 사고 현장 접근이 어려웠던 탓입니다. 이태원참사 이송 🔽 자세히 읽어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Pick] 영국 콜린스 사전, 올해의 단어로 '영구적 위기' 선정[Pick] 영국 콜린스 사전, 올해의 단어로 '영구적 위기' 선정영국 영어사전 콜린스가 올해의 단어로 'permacrisis'를 선정했습니다. 현지 시간으로 지난 1일 콜린스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2022 올해의 단어'를 발표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반려묘 22마리 버리고 이사한 40대 '챙기기 어려워서'반려묘 22마리 버리고 이사한 40대 '챙기기 어려워서'구조된 고양이들 모습. 〈사진=제주동물보호소 제공〉 제주의 한 원룸에 살다 고양이 22마리를 버리고 혼자 육지로 이사한 4..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심리학자·언어학자가 ‘이태원 참사’ 대신 ‘10·29 참사’를 제안한 이유심리학자·언어학자가 ‘이태원 참사’ 대신 ‘10·29 참사’를 제안한 이유지난달 29일 이태원 한 골목길에서 시민 156명이 사망한 사건을 다수 언론에서 ‘이태원 참사’로 부르는 가운데 ‘이태원 참사’ 대신 ‘10·29 참사’로 부르자는 주장이 이어지고 있다. 실제 이번 참사로 이태원 지역 상인들 사이에선 코로나로 침체했던 분위기가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한국심리학회는 참사 다음날인 지난달 30일 성명을 내고 “지난밤 이태원에서 일어난 10·29 참사에 애도와 연대의 마음을 전한다”며 “한국심리학회는 지역 혐오 방지를 위해 본 참사를 10·29 참사라 부르고자 한다”고 했다. 학회 내에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가출하면 성매매해서 돈 벌래?' 초등학교 교사 막말'가출하면 성매매해서 돈 벌래?' 초등학교 교사 막말초등학교 교사가 여학생을 지도하면서 '성매매'를 언급하며 막말을 했습니다. 학생과 부모는 정서적 학대라며 피해를 호소했지만, 학교 측은 소극적이고 부적절한 대응으로 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24 19: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