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권하정은 영화과를 졸업한 뒤 슬럼프에 빠진다.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고, 아무와도 만...
2018년, 권하정은 영화과를 졸업한 뒤 슬럼프에 빠진다.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고, 아무와도 만나고 싶지 않던 시기. 하정은 집에서 혼자 많은 시간을 보낸다. 어느 날 친구 김아현의 단편영화 상영회 초대장이 온다. 친구를 축하하기 위해 “거의 1년 만에 집 밖으로 나선” 하정은 상영회에 초청된 무명의 가수 이승윤의 노래와 만난다. 그리고 크게 위로받는다. 승윤의 앨범에 있는 다른 노래들까지 다 찾아 들은 하정은 생각한다. ‘나, 이 가수랑 같이 작업해보고 싶어.’지난 6일 개봉한 는 학교를 졸업한 뒤 방황하던 ‘듣보인간’ 셋이 역시 ‘듣보가수’였던 승윤의 신곡 뮤직비디오를 만드는 과정을 담은 다큐멘터리다. 하정과 아현, 그리고 또 다른 친구 구은하는 무작정 승윤의 노래 ‘무명성 지구인’으로 샘플 뮤직비디오를 만든다. 집 안에서 미니어처 소품을 활용해 찍은 뮤직비디오 파일을 USB에 담아 손편지와 함께 공연이 끝난 승윤에게 건넨다.
는 ‘성공한 덕후’에 대한 이야기는 아니다. 하정이 승윤의 노래를 좋아하면서 시작된 일이긴 하지만, 이들은 ‘팬과 가수’가 아닌 ‘뮤직비디오 감독과 아티스트’로서 서로를 존중하고 응원한다. 영화에서 눈에 띄는 점도 네 사람이 서로에게 쓰는 언어다. 작업하면서 맞닥뜨리는 어렵고 힘든 순간, 이들은 서로에게 ‘힘을 내’라고 하기보단 그냥 그 순간 자신의 마음을 담백하게 표현한다. “너희가 있으니까 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어”, “너네가 이 일을 실현시켜주는 느낌이 들었어”, “정말 영광입니다. 여러분이 좋아하는 일에 저와 제 노래가 함께할 수 있었다는 사실이”. 이들은 썩 훌륭하게 뮤직비디오 촬영을 마친다. 그리고 각자의 일상으로 돌아간다. 는 열심히 살던 이들이 우연히 만나, 인생의 한 순간을 밀도있게 공유하는 이야기다.
영화의 시점은 지금으로부터 3년 전이다. 이후 듣보인간들의 삶은 많이 달라졌을까? 하정과 아현은 여전히 영상, 영화 일을 하고 있다. 은하는 ‘좋아하는 일보다 잘하는 일을 하자’는 마음을 갖고 빵집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승윤은 2년 전 JTBC 오디션 프로그램 에서 1위를 하면서 더 이상 ‘듣보’가 아니다. 라는 제목은 하정이 영화 일을 안 하고 쉬던 때, 우연히 만난 학교 선배가 ‘너 영화 안 한다더니 살아있었네?’라고 말한 것에서 착안했다. “나의 생존신고 같은 영화다. 나 지금 여기 살아있다는 뜻에서 만들었다.” 뮤직비디오는 친구 셋이 만들었지만, 다큐멘터리는 권하정·김아현 감독이 제작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93세 강제동원 피해 할머니 '윤 대통령도 한국사람 받들어 함께 싸워달라''931원 송금 파문' 정신영 할머니 "왜 일본 총리랑 같이 고개 끄덕이고 있나...끝까지 싸우겠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여가부 폐지하려고 각종 사업 통·폐합한 결과는 청소년 지원 예산 삭감[플랫]여성가족부가 고용노동부와의 ‘기능 중복’을 이유로 청소년 노동권 보호사업 관련 예산을 전액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갈등·혐오 시대에 ‘젠더’ ‘페미니즘’을 가르친다는 의미 [플랫]“서울 서초동 초등학교 사건 49제가 어제(4일) 있었는데요. 그 사건이 저한테 주는 타격감이 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평균 초혼 연령 남성 33.7세, 여성 31.3세…지난해보다 높아져〈사진=JTBC 방송화면 캡처〉 지난해 평균 초혼 연령은 남성이 33.7세, 여성이 31.3세로 모두 전년보다 올랐습니다. 초혼 건수는 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스위첸 광고 ‘문명의 충돌2’, 작은 위화감이 든다면[플랫]사십 대 초반 구간을 지나며 편해진 게 하나 있다. 이젠 웬만해선 ‘아직도 아이 생각은 없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