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北위성 발사 전날 해상 인양훈련…잔해물 수거 나설 듯
훈련 장소는 진해 해군기지였으며, 훈련 시점은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 하루 전인 30일이었다.북한 우주발사체의 잔해물이 서해로 낙하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잔해물 인양을 위한 훈련을 실시했을 가능성이 점쳐진다.
앞서 북한은 이달 31일 0시부터 내달 11일 0시 사이 이른바 정찰위성을 발사하겠다고 발표한 후 31일 오전 6시29분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우주발사체를 쏘아 올렸다.북한은 예고 당시 1단 로켓 낙하지점으로 '전북 군산 쪽에서 서해 멀리', 페어링 낙하지점으로는 '제주도에서 서쪽으로 먼 해상', 2단 로켓 낙하지점으로는 '필리핀 루손섬 동방 해상'을 지목했다.또 외국산 부품 사용 여부를 통해 대북 제재 준수 여부와 외국으로부터의 발사체 기술 이전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북, 정찰위성 발사 IMO에도 통보 '31일부터 내달 11일' | 연합뉴스(런던=연합뉴스) 최윤정 특파원=북한이 30일(현지시간) 정찰위성 발사 계획을 국제해사기구(IMO)에도 통보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북, 정찰위성 발사 IMO에도 통보 '31일부터 내달 11일 사이'(종합) | 연합뉴스(런던=연합뉴스) 최윤정 특파원=북한이 30일(현지시간) 정찰위성 발사 계획을 국제해사기구(IMO)에도 통보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北, 우주 발사체 1발 발사...'예고지점 못 가 레이더서 사라져'합참 '오늘 오전 ’북한 주장 우주발사체’ 포착' / '발사체 1발, 평북 동창리서 남쪽으로 발사' / 군 소식통 '발사체, 낙하 예고지점 도달 못 해' / 발사체 공중 폭발·해상 추락 등 실패 가능성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日, 北위성 통보에 '파괴명령' 발령…기시다 '한미일 긴밀협력'(종합) | 연합뉴스(도쿄=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일본 정부는 29일 북한의 인공위성 발사 통보와 관련해 발사체나 잔해물이 자국 영역에 낙하할 가능성이 있다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주요외신 '北 위성발사 통보' 신속 타전…한일 공동대응 주목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이지헌 기자=주요 외신들은 29일 북한이 인공위성 발사 계획을 일본에 통보한 사실을 신속히 전하며 촉각을 세웠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 北 위성발사계획 통보에 '안보리 결의 위반…자제해야' | 연합뉴스(워싱턴=연합뉴스) 김동현 특파원=미국 행정부는 북한이 인공위성 발사 계획을 일본에 통보한 것과 관련해 위성 발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