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출범을 주도한 '여야의정 협의체'가 출범 20일 만에 활동을 중단한다. 이만희 의원은 의료계와 정부 간 갈등 해소를 위해 출범하였으나, 의료계의 요구를 수용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중단을 결정하였다. 의료계는 그 동안 의료계와 정부 간 갈등 해소를 위한 협의체 참여를 중단하며, 정부와 여야 모두에 책임을 돌렸다.
1일 국민의힘 대표로 협의체에 참가한 이만희 의원은 국회에서 회의 후 브리핑을 열고" 의료계 가 2025년도 의대 정원 변경을 지속해서 요청해왔다. 이는 입시가 상당히 진행된 상황을 감안하면 현실적으로 수용하기 참으로 어려운 요구였다"며"협의체 대표들은 당분간 공식적 회의를 중단하고 휴지기를 갖기로 했다"고 밝혔다. 여야의정 협의체 는 앞서 '응급실 뺑뺑이' 사건이 연일 발생하는 상황에서 의료 개혁을 둘러싼 의료계 와 정부 간 갈등 해소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지난달 11일 출범했다. 협의체에는 국민의힘, 정부, 대한의학회,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 등이 참여했다.
그는" 모두 다함께 시작하면 더 좋겠지만, 지금처럼 더불어민주당이 참여에 대해 처음과 달리 전제 조건을 강조하면서 계속 불참 입장을 고수한다면 날씨와 의료 상황이 심각한 만큼 '여의정'만이라도 우선 출발하고자 한다"고 했다. 불완전한 형태로 출범한 협의체가 결국 좌초한 셈이다.의료계는 정부와 여야 모두에 책임을 돌렸다. 의료계 대표로 참가한 이진우 대한의학회장은 이날"그동안 대한의학회와 KAMC는 2025년 의과대학 정원 관련해 현실적으로 가능한 방안을 충분히 검토해 구체적 조정안을 제시했다"며"또한 2026년 증원 유예와 함께 합리적 추계 기구를 신설해 2027년 이후 정원 논의를 진행하자는 제안도 협의체에 전달했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지난 주 회의 이후 마지막까지 정부의 성의 있는 태도 변화를 요청했지만 오늘에 이르기까지 어떤 응답도 받지 못했다"며"의료 현실의 심각성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는 여당은 해결을 위해 정부를 적극적으로 압박하거나, 중재에 나서지 않아 그 진정성을 의심케 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의료계, 여야의정 협의 참여 '고심' 지속…7일 尹 메시지에 주목(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의료 대란 해소를 위한 여야의정 협의체 참여를 놓고 의료계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동훈 대표 의대 신설 지지 발언으로 '여야의정 협의체' 위기의료계와 정부, 여야가 의대 증원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열린 '여야의정 협의체'가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의 의대 신설 지지 발언으로 위기에 처했다. 이로 인해 의료계가 협의체를 중단할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의료계의 반발로 의대 신설 지지 여야의정 협의체 중단의료계가 여당의 지역 의대 신설 지지에 반발하여 협의체 참여를 중단하며, 여야의정 협의체가 일시 중단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협의체는 휴지기를 갖게 되었으며, 정부는 대화를 통한 해결을 위해 의료계와 계속 소통할 것을 촉구하였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개문발차' 예고 여야의정 협의체…참여놓고 의료계 내부 엇갈려(종합)(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김잔디 오진송 기자=국민의힘이 오는 11일 의대 증원과 의료차질 사태를 논의할 여야의정 협의체 출범을 예고한 가운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野빠진 '여야의정協', 연말까지 성과목표 활동…전공의 복귀 논의(종합)(서울=연합뉴스) 류미나 조다운 기자=의료 개혁 과제와 의정 갈등 해소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여야의정 협의체'가 11일 더불어민주당과 전공...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與 '11일 여야의정 협의체 출범…野 불참시 여의정만 출발'(종합)(서울=연합뉴스) 이유미 홍국기 조다운 기자=국민의힘은 오는 11일 의대 증원을 논의하고 의료 차질 사태를 논의할 '여·야·의·정 협의체'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