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결핵 환자 발생률은 여전히 세계 최고 수준입니다. 결핵 OECD 1위 🔽 자세히 읽어보기
“전파 안 되는 ‘잠복결핵’ 차별 금지…적극 관리 유도” 2011∼2022년 국내외 결핵 발생 추이. 사진 질병관리청 제공 국내 결핵 발생률이 26년째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1위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전파 가능성이 없는 ‘잠복 결핵감염’ 차별 금지를 명문화하고, 고위험군 사각지대 집중관리 등의 대책을 통해 5년 안에 결핵 발생률을 절반 이하로 낮추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질병관리청은 제13회 결핵예방의 날인 24일 이런 내용의 ‘제3차 결핵관리종합계획’을 발표했다. 국내 결핵 환자 수는 결핵예방법을 근거로 첫번째 종합계획이 마련된 2013년 4만5292명에서 지난해 2만383명으로 절반 가까이 감소했다. 지난해 결핵 전체 환자는 인구 10만명당 39.8명으로 2차 종합계획 목표를 달성했다. 이러한 감소세에도 한국의 결핵 환자 발생률은 여전히 세계 최고 수준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 자료를 보면, 2021년 기준 한국의 인구 10만 명당 결핵 발생률은 오이시디 평균 대비 4.
위생 조건이 좋아지면서 발병이 억제되던 결핵이 면역력이 약화되는 고령층에서 주로 발병하면서 결핵 발병률이 억제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고령층 발병 증가 등의 이유로 결핵 치료 성공률은 81∼82% 수준에서 정체된 상태다. 질병청은 이번 3차 종합계획에서 예방·진단·치료를 강화해 2027년까지 인구 10만명당 결핵 발생률을 절반 수준인 10만명당 20명 이하로 낮춘다는 계획이다. 특히 전파 가능성이 없는데도 ‘사회적 낙인’ 탓에 결핵 검사를 기피하는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잠복결핵 차별금지’를 결핵예방법 등에 명문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최호용 질병관리청 결핵정책과장은 “잠복결핵은 아무래도 연세드신 분들이 많을 수 있는데, 잠복결핵만으로 차별이 있으면 이분들이 숨기자고 생각해 검진이나 치료를 안받으실수가 있다”며 “차별금지를 명문화하고 이를 근거로 잠복결핵 치료 캠페인을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결핵환자 2만 명으로 줄었지만 발생률은 26년째 OECD 최고국내 결핵환자 수가 지속적으로 줄고 있지만, 발생률은 26년째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걸로 나타났습니다. 질병관리청은 오늘 제13회 결핵예방의 날을 맞아 '제3차 결핵관리종합계획'을 발표하고, 지난해 결핵 환자가 2만 383명으로 2013년 4만 5천여 명의 절반으로 줄었다고 밝혔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합격률 1위' 거짓이었다…공정위, 'YJ'에 시정명령와이제이 YJ 독학사 합격률 객관적 근거 없이 '합격생 수 1위, 합격률 1위'라고 거짓 광고한 독학사 교육업체가 공정위의 제재를 받게됐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