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통문화의전당 근무복 '왜색논란'에 '도입 재검토'
김진방 기자=직원 근무복으로 도입 예정이던 개량 한복이 일본 전통 의상과 유사해 '왜색논란'이 일었던 한국전통문화전당이 근무복 도입을 재검토하겠다고 19일 입장을 밝혔다.논란이 된 근무복은 상의 옷깃이 일본 기모노의 하네리와 유사하고 동정의 폭이 좁아 일본풍이라는 지적을 받았다.한국전통문화전당은 이날 발표한 보도자료에서"고전과 현대의 융·복합적 요소를 가미해 만들다 보니 본의 아니게 일본 의상과의 유사성 논란에 휩싸였다"며"다양한 시민들의 의견을 겸허히 받아들이겠다"고 밝혔다.
이어"전통 한복의 아름다움과 실용성을 살린 근무복으로 재탄생시키기 위해 심도 있는 다각도의 작업을 검토해 나가겠다"며"한복 근무복의 왜색논란과 관련, 억울한 부분도 없지 않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한복을 생활화하고 더 알려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며"단순히 컬러가 검은색이고, 동정의 폭이 좁아 일본 의상의 특징에 가깝다는 지적은 반일감정을 앞세운 선입견에 기인한 것이란 입장도 있다"고 덧붙였다.도내 한 대학교의 패션디자인학과 교수는"근무복의 옷깃 문양과 폭을 보면 일본풍 의상을 떠올리기에 충분하다"며"동정을 더 넓혀서 사용하고 무늬도 우리 전통의 방식을 기반으로 변형했으면 좋았을 것 같다"고 지적했다.근무복을 디자인한 리슬 황이슬 대표는 이 같은 지적에 대해"이 의상은 조선시대 칼깃을 기본으로 삼아 제작된 것"이라며"바탕의 검은색은 우리 고유의 전통 오방색 중 하나의 색으로, 왕이 입던 '현의', 학자들의 '심의'에 쓰이는 색과 동일하다.
황 대표는 이어"2008년 미스유니버스 선발대회에서 이지선 씨 옷의 일본 무녀복식 논란, 2020년 블랙핑크 의상을 두고 기모노를 베낀 것이란 주장 등은 대부분 의상에 대한 선입견, 한복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해 발생한 일들"이라며"한복에 대한 인식의 개선이 시급하고, 그래서 한복을 알려 나가는 데 더 노력해야 할 때라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한국전통문화전당 생활한복 근무복 ‘일본풍 논란’에 도입 잠정보류생활한복 근무복을 디자인한 황이슬 리슬 대표는 “근무복이 일본풍이라는 것은 전혀 근거 없는 말”이라며 “이 옷은 유물자료에 근거해 조선 시대 칼깃(칼끝처럼 끝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깃)을 기본으로 삼아 제작된 것이다”라고 반박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中외교수장, 뮌헨회동…블링컨 '정찰풍선 용납못해…갈등 원치않아'(종합2보) | 연합뉴스(워싱턴·서울=연합뉴스) 강병철 특파원 최재서 기자=독일 뮌헨안보회의(MSC)에 참석한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과 왕이 중국 공산당 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中외교수장, 뮌헨 회동…'용납못해' vs '무력 남용' 풍선 격돌(종합3보) | 연합뉴스(워싱턴·서울·베이징=연합뉴스) 강병철 한종구 특파원 최재서 기자=독일 뮌헨안보회의(MSC)에 참석한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과 왕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개량 한복? 日 주방장 느낌'…한국전통문화전당 근무복 논란한복 문화 진흥, 한복 활성화를 목적으로 매주 금요일 직원들에게 이 개량 한복을 입힌다는 것이다. 한국전통문화전당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일식집 주방장 같다'…전통문화전당 근무복 어떻길래 | 중앙일보'초밥 주문하고 싶어지는 복장'이라고 한 시민은 평가했습니다.\r한복 근무복 일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일본 주방장 느낌'…전통문화전당 직원 근무복 '왜색 논란'전주에 있는 비영리 재단법인 한국전통문화전당이 한복 문화 진흥을 위해 직원 근무복으로 디자인한 개량 한복이 '왜색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상의 옷깃이 일본 기모노의 '하네리'와 유사하고 동정의 폭이 좁아 일본풍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