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로 지갑이 얇아진 소비자들이 ‘가성비’를 내세우는 브랜드를 찾고있습니다.\r한국 가성비 패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기간 주춤했던 제조·유통 일괄 패션 브랜드가 기지개를 켜고 있다. 엔데믹으로 일상 회복이 가시화되면서 가두점 위주로 매출을 올리는 SPA 브랜드가 선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금리 인상과 고물가로 지갑이 얇아진 소비자들이 ‘가성비’를 내세우는 SPA 브랜드를 찾은 점도 주효했다.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른바 ‘노재팬’ 타격을 받았던 유니클로는 지난해 국내서 8000억원이 넘는 매출을 올려 SPA 브랜드 매출 1위를 기록했다. 유니클로를 운영하는 에프알엘코리아는 8월에 연간 매출 등을 공개한다. 하지만 이에 앞서 에프알엘코리아에 49% 지분을 출자한 롯데쇼핑이 지난 3월 공개한 사업보고서에서 유니클로의 연간 매출이 공개됐다. 지난해 매출은 8036억원으로 전년 대비 31%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348억원으로 73% 늘었다.신성통상이 운영하는 탑텐도 지난해 전년 대비 37% 뛴 780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SPA 브랜드의 고른 성장 배경으론 ‘리 오프닝’이 꼽힌다. 사회적 거리 두기 해제로 외출이 잦아지면서 의류 수요가 증가한 데다, 오프라인 매장 위주로 매출을 올리는 SPA 브랜드가 주로 수혜를 입었다는 분석이다. 실제 자라의 경우 지난해 온라인 매출은 1410억원으로 전년 대비 오히려 소폭 감소했지만, 오프라인 매출은 4142억원으로 12% 증가했다. 고물가로 소비 심리가 약화하면서 ‘가성비’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코로나19 기간 해외 여행길이 막히며 상대적으로 넉넉해진 주머니로 명품 등 고가 패션에 눈을 돌렸던 소비자들이 물가 인상으로 소비 여력이 떨어지면서 다시 저렴한 SPA 브랜드를 찾고 있다. 일례로 삼성물산이 전개하는 SPA 브랜드 에잇세컨즈의 올해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0% 늘었다. 이랜드 스파오 역시 올해 4월까지 매출이 전년 대비 30% 신장한 상태다.반면 고가 및 수입 패션 브랜드의 성장세는 주춤하고 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올 1분기 매출 312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4% 줄었다. 영업이익은 103억원으로 69% 감소했다. 타임·마인 등 고가 여성복 위주로 전개하고 있는 한섬은 올 1분기 405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하는 데 그쳤다. 영업이익은 8.2% 감소해 543억원을 기록했다.SPA 브랜드는 코로나19 기간 주춤했던 성장에 고삐를 죄고 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에버랜드 '매직트리'서 난 불…갑자기 등장해 소화전 물 뿌린 이 남자 | 중앙일보쉬는 날 아내·아들과 있던 그. 직접 소화전 물을 뿌렸습니다.\r에버랜드 매직트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남국이 형 재산 10억…코인 투자했대' 당내 파다했던 소문 | 중앙일보청문회 휴식 시간, 의원들끼리 나눈 대화가 공개됐습니다.\r김남국 코인 가상화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59억' 곧 국고 귀속되는데…나타나지 않는 로또 1등 주인 | 중앙일보복권을 서랍, 지갑 등에 넣고 그냥 방치하는 이가 많습니다.\r로또 당첨 대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법원 '재건축으로 2채 택한 다주택자…종부세 중과는 정당'법원 '재건축으로 2채 택한 다주택자…종부세 중과는 정당' 연합 종부세 소송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