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7년부터 아프리카에서 고품질 다수확 벼 종자 1만톤(t)을 매년 생산해 대륙 인구 3000만명에게 식량을 공급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올해 아프리카 쌀 원조 물...
정부가 2027년부터 아프리카 에서 고품질 다수확 벼 종자 1만톤을 매년 생산해 대륙 인구 3000만명에게 식량을 공급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올해 아프리카 쌀 원조 물량은 지난해보다 2배 이상 늘린다. 정부는 아프리카 국가들과 농업 분야 협력 강화를 통해 국가적 위상을 높이고, K-푸드와 농기계 산업 등 국내 농업 산업 진출을 확대할 계획이다.정부 지원 내용은 K-라이스벨트, 식량 원조, 기술 협력 등으로 구분된다. K-라이스벨트는 식량난을 겪는 아프리카 국가에 벼 종자 생산단지를 조성해 수확량이 높은 벼 종자를 생산하도록 하고 농가에 보급하는 공적개발원조 사업이다.
쌀 원조 물량은 지난해 3만t 수준에서 올해는 6만2000t으로 2배 이상 늘린다. 농식품부는 시장격리 물량 등 국내산 쌀을 최대한 활용하되, 수입쌀 일부를 병행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보릿고개 경험' 강조, 송미령 장관 'K-푸드, 아프리카 진출 발판 마련'농식품부, 5일 '한-아프리카 농업 컨퍼런스' 등 신시장 진출 위한 농업 외교활동 적극 추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송미령 장관 '보릿고개 경험으로... K-푸드, 아프리카 진출 발판 마련'농식품부, 5일 '한-아프리카 농업 컨퍼런스' 등 신시장 진출 위한 농업 외교활동 적극 추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K컬처와 대륙 역동성 버무린 환영만찬(서울=연합뉴스) 김영신 기자=한·아프리카 정상회의 참석차 서울을 찾은 아프리카 48개국 지도자들을 환영하고자 3일 열린 만찬에서는 한국 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아프리카 48개국 '핵심광물 공급협의체' 출범 합의(서울=연합뉴스) 안용수 김승욱 김영신 기자=우리나라가 아프리카 대륙으로부터 핵심 광물을 안정적으로 공급받기 위한 상설 협의체가 구성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현장영상+] 尹 '2030년까지 100억 달러 수준으로 공적개발원조 확대'[앵커]아프리카 대륙 국가들과 함께하는 첫 정상회의이자 현 정부 최대 규모의 다자 회의인 '한-아프리카 정상회의'가 오늘(4일) 열렸습니다.윤석열 대통령이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효성중공업, 모잠비크에 대규모 전력기기 공급 계약‘한-아프리카 비즈니스 서밋’서 428억 계약 체결 최근 3년 아프리카 시장 수주 5000억원 넘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