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인구 대비 과학기술 연구원수 세계 1위

대한민국 뉴스 뉴스

한국, 인구 대비 과학기술 연구원수 세계 1위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24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3%
  • Publisher: 53%

2021년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 비중은 4.93%로 이스라엘에 이어 세계 2위였고 인구 천 명당 연구원 수는 9.1명으로 세계 1위였다. 인구 백 만명 당 과학기술 분야 박사학위자 수는 한국이 189명으로 미국(124명, 2020년 기준)을 넘어섰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혁신 역량은 지난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 기준으로 미국·스위스·네덜란드·독일에 이어 5위를 기록했다.

2021년 기준 국내총생산 대비 연구개발 비중은 4.93%로 이스라엘에 이어 세계 2위였고 인구 천 명당 연구원 수는 9.1명으로 세계 1위였다.한국 인구 백 만명 당 과학기술 분야 박사 수 미국 앞서 인구 백 만명 당 과학기술 분야 박사학위자 수는 한국이 189명으로 미국을 넘어섰다.

이처럼 해방 이후 과학기술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와 인재 양성은 대한민국을 과학기술 강국으로 만들고 선진국으로 진입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우리는 지난해 8월 한국 최초의 달 궤도 탐사선인 ‘다누리’ 발사 성공에 이어 올해 5월에는 한국형 발사체인 누리호 3차 발사에도 성공했다. 세계에서 자체 제작 발사체와 위성으로 로켓을 발사한 7번째 나라가 됐다. 명실상부한 우주강국 G7에 진입한 것이다. 하지만 이제는 우리나라도 달 착륙 경쟁에도 적극 뛰어들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해 11월 열린 ‘미래 우주경제 로드맵 선포식’에 참석한 자리에서 “광복 100주년인 2045년에 우리 힘으로 화성에 착륙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2032년에는 달에 착륙해 자원 채굴을 시작하겠다”고도 말했다. 이를 준비하기 위해 우주항공청 설립 추진단도 출범시켰다. 7천 억원을 투자해 300명 규모로 올 연말에 개청이 목표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네이처 'LK-99 초전도체 아니라 저항 큰 절연체'네이처 'LK-99 초전도체 아니라 저항 큰 절연체'[앵커]세계 최초의 상온 초전도체라며 한국 연구진이 공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네이처 'LK-99 초전도체 아니라 저항 큰 절연체'네이처 'LK-99 초전도체 아니라 저항 큰 절연체'[앵커]세계 최초의 상온 초전도체라며 한국 연구진이 공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동훈 장관은 피할 수 없는 일을 피하려 하네요” 주디스 버틀러 인터뷰“한동훈 장관은 피할 수 없는 일을 피하려 하네요” 주디스 버틀러 인터뷰“(한국) 법무부 장관은 피할 수 없는 일을 피하려고 하네요.” 세계 최하위인 합계출산율 0.78명...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윗세대 부양하다 인생 끝날라' 막막한 절반세대의 절규'윗세대 부양하다 인생 끝날라' 막막한 절반세대의 절규인구 감소 위기 본질은 '세대갈등'… 희생 강요 말아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20 07:06: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