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의 대중·대미 수출 격차가 21년 만의 최소치를 기록했습니다. 중국 내수 부진과 중간재 자립 강화로 인해 대중 수출은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미중 갈등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으로 대미 수출은 동시에 늘어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부산 남구 신선대 및 감만 부두 야적장. 뉴시스 지난해 한국의 대중·대미 수출 격차가 2003년 이후 21년 만에 최소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2001년 세계무역기구(WTO) 가입과 2015년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발효를 거치며 지난 21년간 한국의 최대 수출 시장 지위를 유지해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중국 내수 부진과 중간재 자립 강화로 인해 한중 공급망 분업 체계가 흔들리면서 대중 수출은 감소세를 보이는 반면, 미중 갈등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라 대미 투자와 수출은 동시에 늘어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6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대중 수출은 2023년보다 6.6% 늘어난 1330억2600만달러로, 주요 10개 지역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 대미 수출은 10.45% 증가한 1277억9100만달러로, 중국에 이어 2위였다. 대미 수출은 지난해까지 7년 연속 최대 실적을 갈아치웠으며, 8년 연속 플러스 성장을 이어갔다.
이에 따라 한국의 대중·대미 수출 격차는 52억3500만달러로 집계됐다. 2003년(8억9100만달러) 이후 가장 좁혀진 것이다. 대중·대미 수출 격차는 대중 수출이 대미 수출을 처음으로 앞선 2003년 8억9100만달러였다가 지속적으로 늘어나 2018년 894억500만달러로 역대 가장 컸다. 2018년 대중 수출액은 1621억2천500만달러로, 대미 수출(727억2만달러)의 2배 이상이었다. 이후 대중·대미 수출 격차는 2019년 628억5900만달러, 2020년 584억4900만달러, 2021년 670억1100만달러, 2022년 460억2300만달러, 2023년 91억2200만달러로 급격히 줄어들었다. 이는 대중 수출은 줄어들고, 대미 수출은 늘어난 결과다. 지난해 월별 대중·대미 수출액 기록도 100억달러 안팎에서 엎치락뒤치락하며 중국과 미국 간 교역 순위 변동 가능성을 시사했다. 트럼프 2.0 시대에 미중 갈등이 심화하고, 미국 중심의 공급망 재편이 가속화할 경우 향후 대중 수출을 확대하기는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 정재홍 기자 [email protected]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대중 수출 급 감소, 대미 수출 급증으로 한국-중국 교역 격차 최소화중국의 내수 부진과 중간재 자립 강화로 대중 수출이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미중 갈등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라 대미 수출이 급증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일 수출 격차 역대 최저, 한국 수출 급성장올해 한국의 수출액은 역대 최저 수준인 202억 달러의 격차로 일본에 훨씬 추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내년 경제 전망은 불안하다는 경고음이 나오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국 관영매체, 중국·일본·한국 경제·무역협력 촉구글로벌타임스는 미국 무역 보호주의 부상 속에서 중국·일본·한국 간 경제·무역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중국·일본·한국 자유무역지대 개발을 촉구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수출기업들 “미국 관세보다 중국 저가 공격·기술 추격이 더 무섭다”한국 수출 기업 상당수는 내년 수출 여건 관련해 미국 관세정책보다 중국의 저가 상품과 기술 추격이 더 위협적이라고 꼽았다. 기업 3곳 중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트럼프 당선, 한국 2차전지 ETF 25% 하락… 중국 ETF 40% 상승트럼프 당선으로 인한 미국-중국 갈등 심화와 전기차 관련 규제에 대한 우려 속 한국 2차전지 ETF는 25% 하락한 반면, 중국 2차전지 ETF는 CATL과 BYD를 담은 상품이 40% 상승하는 등 상반된 움직임을 보였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일본 수출액 격차 역대 최저, 내년 수출 둔화 우려올해 한국과 일본의 대(對)세계 수출액 격차가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지만, 내년 수출 증가세 지속 가능성은 낮다. 역기저 효과, 트럼프 2기 보호무역주의, 미중 갈등 등이 내년 한국 수출 전망을 어둡게 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