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렵고 위험한 일을 하는 하청 노동자들이 임금은 정규직의 절반만 받았다. 인력난이 심화하는데도 조선소를 떠난 하청 노동자들은 돌아오지 않고 있다. 한국 조선업에 미래가 있을까. 📝전혜원 기자
한국이 중국을 제치고 조선업 1위를 탈환했다. 올해 상반기 기준, 전 세계에서 선박 수주량이 제일 많은 조선소 세 곳이 모두 한국 기업이다. 당장 배 만들 사람이 필요한데, 문제는 인력이다. 2014년 20만3000여 명에 달하던 조선업 노동자가 지난해 9만2000여 명으로 쪼그라들었기 때문이다.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는 오는 9월에만 생산인력 약 9500명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한다. 인력이 부족하면 임금을 올려서라도 사람을 데려오는 게 ‘시장의 원리’일 것이다. 그런데 현직 조선소 생산 인력들이 오히려 임금을 올려달라고 파업을 했다. 대우조선 하청 노동자들 얘기다. 이들은 임금 30% 인상을 요구했으나 4.5% 인상에 합의하고 51일 동안의 파업을 끝냈다. 왜 임금을 30%나 올려달라고 했을까? 2014년 대비 임금이 약 30% 삭감되었으니 이를 ‘원상회복’해 달라는 논리였다.
2019년에는 현대중공업이 인수합병에 나섰으나 올해 초 유럽연합이 ‘두 회사가 합병하면 LNG 운반선 점유율이 지나치게 높아져 독과점이 된다’며 불허했다. 이에 대해선 현대중공업이나 산업은행이 적극적이고 치밀하지 않았던 것 아니냐는 평가도 있다. 독과점을 이유로 유럽연합이 합병을 불허할 가능성은 충분히 예견할 수 있었는데도 대비가 미흡해 2년 넘는 시간을 허비했다는 취지다. 하지만 현대중공업 매각에는 대우조선 정규직 노조도 반대했다. 최상규 정규직 노조 대외협력실장은 “같은 조선업체에 인수되면 구조조정이 우려됐다. 해외 자본도 아니고 같은 업계도 아닌 국내 재벌사 인수는 고려해볼 수 있다”라고 말했다. 지금으로선 희망사항에 가깝다. 수주 호황이라고는 하나 흑자 전환 여부는 여전히 미지수다. 글로벌 경기에 따라 업황이 출렁이면서도 설비 유지 등 고정비는 많이 드는 조선업에 리스크를 감수하고 뛰어들려는 국내 재벌사는 잘 보이지 않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한국은 일본 제국령 조선'…애플 '시리'에 묻자 한국 나온 대답시리에게 '한국에 대해 알려줘'라고 질문을 하면 이런 답변이 나옵니다.\r애플 시리 한국 일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군도 베트남전 민간인 학살”···한국 법정서 증언하는 ‘응우옌 할머니’비가 추적추적 내린 8일 오전 10시30분. 검은 정장 차림의 응우옌 티 탄(62) 할머니가 서울 중구에 있는 ‘2기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 사무실을 찾았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국 '한국, 사드 운용 제한 정식 선서했다'…3불에 1한까지 요구중국 정부가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문제와 관련, 한국 정부가 기존에 배치된 사드의 운용 제한을 대외적으로 약속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은 일본 제국령 조선' 현대사 왜곡 애플, 시정했다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왕길환 기자='한국은 현대사에서는 한반도 또는 조선반도의 일본 제국령 조선'이라는 왜곡된 정보를 유통해 비난을 샀던 애플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