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의 착각, 일본에선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다 관동대지진 민병래 기자
한국 정부가 3월 6일 끝내 일본 전범 기업 미쓰비시와 일본제철이 갚아야 할 배상금을 한국 기업이 대신 내는 것으로 결정하고 이를 '강제징용 해결책'이라고 발표했다. 일본 정부의 직접 사과와 전범 기업의 사죄 또한 없는 결정이었다. 물론 피해자들의 동의도 없었다.
1923년 9월 2일 계엄령이 내려지자 군대의 행동은 재난 구호에서 치안 유지로 바뀌었다. 나라시노 기병 15연대의 출동 목적은"폭동을 일으킨 조선인을 진압하라"는 것이었다. 이 연대의 병사였던 에츄우야 리이치는 을 남겼는데 그중의 한 대목이다. 그렇다면 왜 이런 끔찍한 만행이 저질러졌을까? 지진 직후 수십만의 이재민이 황궁 앞과 야스쿠니 신사 앞에까지 밀려들며 노숙하게 되자 일본 정부는 체제의 위기감을 느꼈다. 몇 해 전인 1918년 쌀 폭동에서 민중의 저항을 십분 경험한 터에 난민의 절망감이 어디로 튈지 몰라 전전긍긍했다. 명분은 자민당 의원이 제공했다. 2017년 3월 2일 도쿄도 의회에서 코가 토시아키는"관동대지진 당시 불법 행위를 저지르고 그들을 따르도록 선동한 한국 독립 운동가들 때문에 희생자가 나왔다"는 황당한 주장을 펼쳤다. 그러면서 고이케 지사에게 추도사를 보내지 말라고 요구했다. 고이케는 이에 화답하듯 2017년 9월 1일에 열린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 추도식에 추도사를 보내지 않았고 지금까지 추도문 발송을 거부하고 있는 상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강제징용 해법] 美, 대환영…'걸림돌 제거' 한미일 삼각공조 탄력받나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장재은 기자=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6일 한국 정부의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대법원 판결과 관련한 해법 발표를 크게 환영하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통령실 '日정부 '반성·사죄' 재확인·관계 노력 입장 평가'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한지훈 이동환 기자=대통령실은 6일 일본 정부가 한국 정부의 강제징용 배상 문제 해법 발표에 맞춰 역대 내각의 역사 인식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바이든 '美 가장 가까운 동맹간 협력·파트너십 신기원적 장' | 연합뉴스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한국 정부의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대법원 판결 관련 해법 발표에 대해 한일관계의 '신기원적인 새 장(a groundbreaking new chapter)'이라고 환영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일본 외무상 ''김대중-오부치 선언' 등 역대 내각 역사인식 계승'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은 현지시간 6일 한국 정부의 일제 강제징용 노동자 배상 문제 해결책 발표에 대해 '한일관계를 건전한 관계로 되돌리는 것으로 평가한다'고 밝혔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日정부 ''김대중-오부치 선언' 등 역대 내각 역사인식 계승'(종합2보) | 연합뉴스(도쿄=연합뉴스) 김호준 특파원=일본 정부는 6일 한국 정부의 일제 강제징용 노동자 배상 문제 해법 발표에 맞춰 역대 일본 내각의 역사 인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