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뉴스) 송정은 기자=한국이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67개국 중 20위를 차지해 역대 최고 순위를 기...
송정은 기자=한국이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67개국 중 20위를 차지해 역대 최고 순위를 기록했다.IMD는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과 신흥국 등을 대상으로 매년 6월 세계경쟁력연감을 발표한다. 국가경쟁력은 기업을 경영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는 역량을 평가한다.IMD가 계량지표와 올해 3∼5월 설문한 지표를 토대로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 순위는 올해 20위로 집계돼 2023년보다 8계단 올랐다. 1997년 평가 대상에 포함된 이래 최고 순위다.대만은 8위, 미국과 중국은 각각 12위, 14위로 나타났다. 일본은 38위다.우리나라는 국민소득 3만달러·인구 5천만 이상 국가인 '30-50클럽' 7개국 가운데서 미국에 이어 두 번째다. 인구 2천만명 이상 30개국 중에는 7위다.생산성·효율성, 노동시장, 금융, 경영관행, 태도·가치관 등 5개 부문 골고루 상승했다.
'인프라' 분야도 16위에서 11위로 5계단 올라갔다. 기본 인프라, 기술 인프라, 과학 인프라, 교육 등의 부문 순위가 오른 결과다.기재부 관계자는"보건 인프라가 사회에 필요한 만큼 충분히 조성돼 있는지에 대한 설문조사 항목"이라고 설명했다. 설문조사 시기를 고려하면 '의대 증원 및 전공의 파업'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있다.성장률 등 국내경제 부문 순위가 11위에서 7위로 올랐으나 국제무역 부문이 42위에서 47위로 떨어져 이를 상쇄했다.국제투자와 물가 부문도 각각 3계단, 2계단 하락했다. 고용 부문은 4위로 유지됐다.이 분야 가운데 재정, 제도 여건, 기업 여건, 사회 여건 등 4개 부문 순위가 올랐으나 조세정책이 26위에서 34위로 하락했다.
조세정책 부문 중 2022년 기준 국내총생산 대비 총조세가 32위에서 38위로, 소득세가 35위에서 41위로, 법인세가 48위에서 58위로 떨어졌다. 조세 부담 증가가 순위 하락을 이끌었다고 기재부는 설명했다. 기재부 관계자는"앞으로 평가 결과를 참조해 '민간이 끌고 정부가 미는 역동적 경제' 정책 기조에 따라 기업 효율성 제고를 더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겠다"며"종합적인 국가경쟁력 강화에 더욱 힘쓸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기업하기 좋은 나라 된 한국?···IMD 국가경쟁력 평가 20위 ‘역대 최고’우리나라가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의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역대 최고 순위인 20위를 기록했다. 기획재정부는 스위스 IMD가 발표한 2024년 국가경쟁력 평가 종합순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블랙록 “韓 에너지전환, 해상풍력이 주도 할 것”찰리 리드 블랙록 아태 기후인프라 대표 향후 화석연료보다 효율성 높아질 것 한국 시장서 신재생에너지 투자 확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죽다 살았네, 이게 얼마만이야”…에코프로·LG엔솔 급등한 이유는전세계 점유율 1위 中 CATL 美 고관세 넘어 수입금지 논의 한국 배터리 기업 반사이익 에코프로·LG엔솔 상승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이유 찐팬’ 美 할아버지, 내일 한국 온다문체부·한국관광공사 초청으로 오는 20∼28일 한국 여행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턱없이 낮은 기부면세 한도 日 50%·美 35%·韓 10%공익법인 상증세 혜택 저조'기업 기부문화 활동 제약'韓기부참여 142개 중 79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일본도 저출산 비상...도쿄 0.99명, 처음으로 1명 깨졌다여성 1인당 출산율 1.2명 최저 출산여성 평균 31세...역대 최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