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원에 몰린 '코로나 세대'... 작년 사교육비 26조 '역대 최대' 사교육비
고유선 기자=일상회복 속에 '코로나 세대'의 학습결손 우려가 커지면서 지난해 사교육비 총액이 역대 최고치인 26조원을 기록했다.교육부와 통계청은 전국 초·중·고교 약 3천곳에 재학중인 학생 7만4천명가량을 대상으로 '2022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를 공동 실시한 결과 이같이 집계됐다고 7일 밝혔다.
조사 대상 사교육비는 초·중·고교생이 학교 정규교육과정 외에 사적 수요에 따라 개인적으로 지출하는 학원비·과외비·인터넷강의비 등이다. EBS교재비와 어학연수비 등은 포함되지 않는다.1년 사이 학생 수는 0.9% 줄었는데도 총액은 2021년 대비 10.8% 늘었고, 2007년 조사 시작 이래 사상 최고치였던 전년도 기록도 한 해 만에 갈아치웠다.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전체 학생을 놓고 보면 41만원으로 1년 사이 11.8% 늘었다. 사교육에 참여한 학생만 놓고 보면 52만4천원으로 7.9% 증가했다. 사교육 참여율은 코로나19에 감염 우려가 크고 방역기준이 엄격했던 2020년 67.1%로 떨어졌다. 하지만 등교가 정상화된 2021년에는 75.5%를 기록하며 코로나 이전 수준을 넘어섰고, 지난해에도 상승세를 이어갔다.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사교육비 액수는 고등학생이 컸지만, 증가폭은 초등학생이 가장 가팔랐다.
전체 학생을 놓고 보면 초등학생의 1인당 사교육비는 월평균 37만2천원으로 전년 대비 13.4% 높아졌다. 중학생은 43만8천원으로 11.8%, 고등학생은 46만원으로 9.7% 올랐다.코로나19 초기 초등학생의 사교육이 가장 많이 위축됐는데 방역기조 완화에 따라 회복세가 이어진 것은 물론, 학습결손에 대한 우려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지출한 사교육비를 구간별로 보면 월평균 40만원 미만을 지출한 학생의 비중은 전년 대비 줄었지만, 월평균 70만원 이상을 쓴 학생 비중은 19.1%로 전년보다 3.3%포인트 늘어 사교육비 규모도 양극화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일반교과의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전체학생 기준 31만원, 참여학생 기준 49만원으로 전년대비 각 10.2%와 6.5% 늘었다.
전체학생을 기준으로 지출 규모를 보면 영어 12만3천원, 수학 11만6천원, 국어 3만4천원 순으로 지출이 컸는데 증가율은 국어, 영어, 수학 순이었다. 사회·과학은 9.5% 늘었다.심민철 교육부 디지털교육기획관은"코로나 기간 초등학생의 경우 언어 습득, 글을 읽는 문해력, 짧은 글을 쓰게 되고 공백기간 동안 결손에 대한 보충 수요가 학부모들에게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월평균 소득 800만원 이상 가구의 사교육비는 64만8천원으로 전체 구간에서 가장 높았고, 300만원 미만 가구의 사교육비는 17만8천원으로 가장 낮았다.사교육의 목적은 일반교과의 경우 학교수업 보충, 선행학습이라는 응답 비중이 높았고, 예체능 관련은 취미·교양 및 재능계발 비중이 가장 높았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학원으로 몰린 '코로나 세대'…작년 사교육비 26조 '역대 최대'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고유선 기자=일상회복 속에 '코로나 세대'의 학습결손 우려가 커지면서 지난해 사교육비 총액이 역대 최고치인 26조원을 기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BTS·우영우 덕?…작년 '한류 수지' 흑자 규모 역대 최대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박대한 기자=방탄소년단(BTS), 블랙핑크 등을 중심으로 K-팝이 인기를 끌고, 넷플릭스 등 온라인동영상 서비스(OTT)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년 연속 사상 최대…사교육비 '쇼크'에 9년 만에 대책 마련 | 연합뉴스(세종=연합뉴스) 김수현 기자=코로나19 장기화로 학습 결손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면서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사교육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