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 노화 비밀 풀리나…당 대사 조절로 피부 노화 억제 기술 개발됐다

대한민국 뉴스 뉴스

피부 노화 비밀 풀리나…당 대사 조절로 피부 노화 억제 기술 개발됐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hankookilbo
  • ⏱ Reading Time:
  • 20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1%
  • Publisher: 59%

당 대사 조절을 통해 피부 노화를 늦추는 기술이 아주대 피부노화 연구팀과 글로벌 기업 샤넬(CHANEL)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강희영·박영준·김진철 아주대병원 피부과 교수와 박태준 아주대 의대 생화학교실 교수 연구팀은 샤넬(CHANEL) 연구팀과 공동으로 피부 색소세포인 ‘멜라닌세포’의 노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세포 내 당 대사 변화가 발생하며, 멜라

강희영·박영준·김진철 아주대병원 피부과 교수와 박태준 아주대 의대 생화학교실 교수 연구팀은 샤넬 연구팀과 공동으로 피부 색소세포인 ‘멜라닌세포’의 노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세포 내 당 대사 변화가 발생하며, 멜라닌소체의 전달 기능 장애로 멜라닌색소 축적 현상이 나타남을 최초로 규명했다고 밝혔다.서양인과 동양인의 외모가 다른 건 멜라닌세포 구성 등이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멜라닌세포에서 생성되는 멜라닌소체는 멜라닌세포가 만든 멜라닌색소를 피부 표피 내 각질 형성 세포로 전달한다. 오랫동안 자외선에 노출되면 피부 멜라닌세포도 노화해 피부 탄력이 떨어지고 색깔이 변하는 등 피부 상태도 나빠진다.노화 표현형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고 멜라닌소체 전달 기능과 관련 유전자와 단백질은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멜라닌 합성 능력은 변화하지 않아 멜라닌세포 노화 현상이 멜라닌소체 전달 기능 장애에 따른 것임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단일 세포 전사체 분석을 통해 정상 멜라닌세포가 노화 상태로 변환하는 전환점이 있음을 처음으로 규명했다. 이 전환점을 기준으로 포도당 분해 등 당 대사와 멜라닌소체의 기능적 변화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이를 조절하는 물질인 ‘2-디옥시-D-글루코스’를 기반으로 한 멜라닌세포의 노화 지연 기술을 최초로 개발하기도 했다.강희영 교수는 “이번 연구는 피부 노화와 관련해 그동안 밝혀지지 않았던 멜라닌세포의 노화 메커니즘과 이 세포의 새로운 특징을 처음으로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했다. 박태준 교수는 “이번 연구로 당 대사 조절을 통해 피부 멜라닌세포 노화를 억제할 수 있음을 새로 확인한 만큼 앞으로 피부 노화를 정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hankookilbo /  🏆 9.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소비자원, 선팅필름 비교해보니...1위 제품은?소비자원, 선팅필름 비교해보니...1위 제품은?3M Crystalline 70 제품, 가성비 최고 평가 온도상승 15도 억제 확인 ‘가시광선 투과율’ 유의해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희귀 금속소재까지…김동관의 스타트업 투자 큰그림희귀 금속소재까지…김동관의 스타트업 투자 큰그림항공엔진용 금속소재 생산美피닉스테일링스에 40억투자우주·방산산업과 시너지도심항공교통 사업과도 연관친환경 모빌리티 기술 확보뉴한화 미래 먹거리 속속 발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쿼드·오커스보다 넓고 깊게…중국 ‘포위하는’ 미국쿼드·오커스보다 넓고 깊게…중국 ‘포위하는’ 미국쿼드보다 강력한 안보 공조오커스보단 강제력 약하지만경제안보·기술 분야 총망라대중국 견제 면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쿼드·오커스보다 넓고 깊게…중국 ‘포위하는’ 미국쿼드·오커스보다 넓고 깊게…중국 ‘포위하는’ 미국쿼드보다 강력한 안보 공조오커스보단 강제력 약하지만경제안보·기술 분야 총망라대중국 견제 면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반도체 동맹 핵심 국가들, 中 기술 유출 맞서 공조 회의[단독]반도체 동맹 핵심 국가들, 中 기술 유출 맞서 공조 회의한·미·일 3국이 첨단기술 탈취를 막기 위한 공조를 강화하기로 한 가운데, 한·미·일 수사당국이 반도체 핵심기술 보호를 위한 협의를 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지난 18일 캠프 데이비드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회담에서도 ‘첨단 기술 연대’의 확장 차원에서 핵심 신흥기술의 공동개발뿐 아니라 기술 표준화, 기술 유출 방지도 경제안보 분야의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법무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올 하반기 핵심 기술 보호를 위해 한·미·일 관계 부처 회의에 참석하기로 하면서, 기술 유출 방지를 위한 수사당국간 공조도 심화할 전망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해커 시선으로 취약점 찾아라”…삼성전자, 보안 화두 던졌다“해커 시선으로 취약점 찾아라”…삼성전자, 보안 화두 던졌다삼성전자는 22일 삼성전자 서울R&D캠퍼스에서 ‘제7회 삼성 보안 기술 포럼(SSTF)’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삼성 보안 기술 포럼’은 학계·업계 관계자들이 참가해 보안 기술 분야의 최신 기술과 동향을 공유하는 자리다. 삼성전자는 정보 보안 기술 저변 확대와 인재 양성을 위해 2017년부터 매년 ‘삼성 보안 기술 포럼’을 개최해오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4 01:39: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