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르세는 매우 느리게 성장하며 최고 45m까지 자랍니다.\r파타고니안사이프러스 나무 최고령
칠레 남부에서 5000살이 넘은 것으로 추정되는 거대 나무가 새로운 '세계 최고령 나무'로 인증 과정에 있다고 AFP통신 등이 2일 보도했다.
현재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나무는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있는 브리슬콘 소나무다. 구약성서에 나오는 최고령 인물의 이름을 따 '므두셀라'라고 불리는 이 나무는 현재 4850살이 넘은 것으로 추정됐다. 새롭게 최고령 나무로 주목받게 될 나무는 이보다 많게는 600년을 더 산 것으로 추정된다. 칠레 환경과학자 조나단 바리치비치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이 나무가 5000살이 넘었을 가능성을 80%로 추정하며, 최고 5484년이 됐을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미국 과학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은"무려 기자 피라미드가 세워지기 이전"이라고 표현했다.
이 나무는 주로 칠레 남부와 아르헨티나 안데스 산맥에 서식하는 침엽수 '파타고니안 사이프러스'다. 자생지인 알레르세코스테로 국립공원의 이름을 따 '알레르세'라고 불린다. '세계 최고령 나무' 등극을 앞두고 '증조 할아버지'라는 별칭도 붙었다. 알레르세는 매우 느리게 성장하며 최고 45m까지 자라는 것으로 알려졌다.바리치비치 박사 연구팀은 알레르세의 수령을 파악하기 위해 현존하는 가장 긴 드릴을 사용해 샘플을 채취하려고 했지만, 몸통 지름이 무려 4m에 달해 중앙부까지 드릴이 도달하지 못했다고 한다. 그는 추출된 표본의 수령은 2400년이 된 것으로 추정됐으며, 연대 측정법을 통해 계산한 결과"5000살이 넘었을 가능성이 80%, 그보다 어릴 가능성이 20%였다"고 말했다. 이 결과는 학계 입증을 앞둔 것으로 알려졌다.연구팀은"고대 나무는 저항과 적응의 상징이기 때문에 특별한 유전자와 역사를 가지고 있다"며"단순히 기록에 들기 위한 것뿐 아니라 이 나무에 가치와 의미를 부여하고 보호해야 하는 데는 더 많은 이유가 있다"고 말했다.한편 연구팀은 알레르세의 보호에도 목소리를 내고 있다. 사진을 찍기 위해 몰려든 관광객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데다가 칠레 남부의 기후가 예전보다 따뜻하고 건조해지면서 가뭄 우려도 커지고 있다는 이유에서다.연구팀은 이에 칠레 정부에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지정과 함께 방문객 제한을 요구한 상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세계 최고령 122살 곧 깨진다…“40년 안 걸릴 듯”‘세계에서 가장 오래 산 사람’으로 기록돼 있는 사람은 잔 루이즈 칼망(1875~1997)입니다. 사망 당시 나이는 만 122살이었고, 이 기록은 지금껏 깨지지 않았는데요. 2060년쯤에는 인류가 칼망의 수명을 넘어설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 생물학적 한계치 깨질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특별기획] 새로운 공항의 길, 코드명 'MRO'22살 인천공항의 만렙 프로젝트 전 세계 56개국, 166개 도시를 연결하는 글로벌 허브 공항, 인천국제공항이 올해로 개항 22주년을 맞이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교통범칙금 미납 1.6조원...워싱턴D.C. '도로위 폭탄' 골머리우리나라도 최근 5년간(2022년 기준) 교통법규 위반 과태료·미납건수는 1,468만 건·미납액은 7,580억 원으로 추정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민재의 나폴리, 33년 만에 정상 등극김민재 선수의 소속팀인 나폴리가 33년 만에 이탈리아 리그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김민재는 유럽 빅리그 데뷔 첫 시즌에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