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주의자 얼굴의 '집권 3기' 시진핑, 대미 외교 공세 강화
인교준 기자='집권 3기'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평화주의자라는 이미지를 국제사회에 재부팅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15일 보도했다.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그는 5년 주기의 정치행사인 제20차 공산당 전국대표대회 직후인 작년 11월 인도네시아 발리의 주요 20개국 정상회의에 참석해 조 바이든 미 대통령과 회담했으며, 이를 계기로 중국이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이들 매체는 두 국가의 물밑 협상에 시 주석이 크게 기여했다고 일제히 전했다.중국 당국이 지난달 24일 우크라이나 전쟁 개전 1주년에 '정치적 해결에 대한 입장'을 내고 직접 대화 조기 재개를 촉구한 데 이어 시 주석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직접 접촉할 계획이다.시 주석은 이르면 다음 주 러시아로 가서 푸틴 대통령과 회담할 예정이며, 젤렌스키 대통령과는 화상 회담을 계획하고 있다.
관건은 시 주석이 푸틴과 젤렌스키 대통령이 만족할 '묘수'를 갖고 있느냐에 모인다. 그럼에도 시 주석은 이 같은 평화 메시지와 중재 노력만으로도 국제 사회에 긍정적인 이미지를 쌓을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시 주석의 이런 행보를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은 수 주 내에 방중해 시 주석과 국제 문제의 평화적 해결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전해졌다.이를 두고 대만·'정찰 풍선'·첨단 반도체 갈등 문제 등을 빌미 삼은 미국의 압박을 시 주석이 외교적 공세로 누그러뜨리려 한다는 지적이 있다. 이와 관련해 상하이외국어대 중동문제연구소의 판훙다 교수는"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이 베이징에서 합의한 내용을 성공적으로 이행한다면 국제 문제 해결에 참여하는 중국에 대한 기대가 높아질 것"이라고 언급했다.미국은 이런 중국을 겉으로는 환영한다는 입장이지만 속내는 복잡해 보인다.
시 주석과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화상 회담 계획에 대해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전날"우리는 시 주석이 젤렌스키 대통령과 접촉하는 것을 권장해 왔다"고 무미건조하게 언급했다.아울러 이란-사우디아라비아 관계 등 중동 문제에 대해서도 미 정관계의 반응은 떨떠름한 기색이다. 예멘 문제를 포함한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 간 오랜 대립을 종식하고 평화 해법을 모색한 것은 칭찬할 만한 일이지만, 이처럼 중요한 중동 문제가 미국이 배제된 채 논의되는 구조를 마냥 반길 수 없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北최선희, 中친강에 축전…'전략전술적 협조 강화'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박수윤 기자=북한 수뇌부는 중국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가 '시진핑(국가주석)-리창(총리)'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中, 러·우크라 중재하나…'시진핑, 두 정상과 회담추진'(종합) | 연합뉴스(베이징 서울=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신유리 기자=최근 국가주석직 3연임을 확정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정상과 잇달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中양회 폐막…'주석 3연임' 시진핑 '軍, 강철 만리장성으로'(종합2보) | 연합뉴스(베이징=연합뉴스) 조준형 한종구 특파원=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국가주석 3연임 확정 후 첫 연설에서 '안보'를 연신 강조하며 '군대를 국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尹대통령, 中 시진핑에 '3연임 축하' 축전 보내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한지훈 기자=윤석열 대통령이 13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3연임을 축하하는 축전을 발송한 것으로 알려졌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금융규제 강화 움직임 속 美 백악관 경제위원장에 '시선집중' | 연합뉴스(워싱턴=연합뉴스) 강병철 특파원=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사태에 대응해 규제 강화 방침을 밝힌 가운데 레이얼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트럼프 규제완화가 원인' vs '바이든 과다한 재정지출이 초래' | 연합뉴스(뉴욕=연합뉴스) 고일환 특파원=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과 시그니처은행 파산 이후 금융규제 강화 필요성이 제기됐지만, 법제화까지 적지않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