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올림픽과 서울장애인올림픽 개최를 앞둔 1988년 3월 송인학씨 등 20여명이 단식 농성에 나섰다. 생존권조차 보장받지 못한 국내 장애인들의 삶은 외면한 채 세계 장애인을 위한 ‘축제’에 예산을 쏟아붓는 정부의 기만을 폭로하기 위해서였다. 2년 뒤인 1990년 장애인
고용촉진에 관한 법이 통과됐다.
서울장애인올림픽 개최 36년이 지난 2024년 8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릴 패럴림픽을 앞두고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40여명의 특사단을 꾸려 노르웨이와 독일을 거쳐 프랑스로 가는 유럽행을 택했다. 전장연은 장애인의 이동권 보장을 요구하는 출근길 지하철 선전전을 가리켜 “장애인권운동이 불법시위로 명명돼 손가락질당하지만, 왜 이런 행동을 하는지에 대한 ‘장애인 권리’는 숨겨져 버린다”며 “대한민국의 권리 약탈을 고발하고 세계에 호소하기 위해” 패럴림픽 현장을 향한다고 했다. 전장연의 첫 해외 원정이기도 한 이번 활동은 시민 모금을 통해 모인 후원금 8천여만원의 성원으로 이루어졌다.지난 22일 아침, 베를린의 출근길에서 전장연 활동가 박상호씨는 서울보다 좁은 지하철의 바닥 아래 내려앉았다. 손으로 바닥을 짚고 ‘포체투지’를 하는 짧은 시간, 그를 제어하는 이는 아무도 없었다. 그는 “장애인의 권리를 빼앗는 오세훈 시장을 막는 데 도와달라”는 독일어 메시지가 담긴 유인물을 펼쳐 들었다.
전장연 유럽 특사단은 28일 파리 패럴림픽 개막식에 앞서 22∼25일 베를린에 방문했다. 지하철역과 나치 독일 시절 우생학에 기반해 장애인 수십만명을 학살했던 ‘티4 작전’ 희생자를 기리는 위령비, 주독 한국 대사관, 그리고 독일 통일을 상징하는 브란덴부르크 문 앞까지. 이들은 걷고, 버스와 트램을 타고 이동하며 시민들에게 왜 이곳에 왔는지 설명했다. 24시간 천막 농성을 열기로 한 대사관 앞에서 박경석 전장연 상임공동대표는 “우리는 잊히지 않기 위해, 비장애중심주의를 철폐하기 위해 이곳에 왔다”며 “우린 장애인 집단거주시설에서, 다른 이들의 눈에 보이지 않아 계속 사망하는 현실을 알려야 한다. 보이지 않아도 되는 사람은 없다”고 말했다.특사단은 관광객이 가장 많이 오가는 브란덴부르크 문 앞에선 바닥 대신 하늘을 보고 누웠다. 휠체어에서 내려와 죽은 듯 드러눕는 ‘다이인’ 행위극을 한 이들은 “장애인도 시민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함께 싸워주십시오” 등의 구호를 외웠다.
한 시간 내내 집회를 지켜본 한 독일인은 “말로 설명할 수 없는 기분이 들었다. 독일도 좋은 곳은 아니다. 이곳에서 목소리를 내주어 고맙다”고 말했다. 독일에 거주하는 청각장애인 조혜미씨는 “나도 교통수단이 불편했고, 죽을 수 있단 생각을 한 적이 있다. 집회를 보며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동행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전했다. 프랑스인 위고 도메스는 “프랑스에서도 장애인은 잘 가시화되지 않는다. 이런 집회 현장을 보는 것도 익숙하지 않지만, 매우 의미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전장연은 4년 넘게 지하철 선전전을 하며 장애인의 ‘사람다운 삶’을 위한 장애인 권리 예산 확보를 주장했다. 정부의 냉대로 희망은 자주 꺾였지만, 특사단 활동을 하며 이들이 가장 많이 외친 말은 그럼에도 “투쟁”이었다. “제가 포기하지 않는 이유는, 저는 비장애인이 절대 될 수 없기 때문에 사회가 변해야만 제가 살 수 있을 것 같아서였습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과묵하던 북한 여자복싱 영웅…경기 전 임애지 찾아가 던진 한마디北 ‘복싱 영웅’ 방철미, 임애지에 “파이팅” 경기 앞두고 선수촌에서 안부 남북 선수 간 첫 소통 사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中위협 의식한 주일미군 통합군사령부…아시아 안보 지형 바꿀까(종합)(서울·도쿄=연합뉴스) 고일환 기자 박성진 특파원=미군과 일본 자위대 간 지휘통제 연계 강화를 위해 창설되는 주일미군 통합군사령부에 대해 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채상병특검 샅바싸움…野 '한동훈안 가능' 與 '제보공작 포함'(서울=연합뉴스) 설승은 최평천 김철선 기자='채상병특검법'을 둘러싼 여야 간 여야 간 수 싸움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거부권·경축사·특사…휴가 마친 尹대통령 정국 해법은(서울=연합뉴스) 김승욱 곽민서 기자=윤석열 대통령이 4박5일 간 여름휴가를 마치고 9일 오후 복귀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찜통더위에 응급실행 온열질환자 2천명 넘어서…1주새 12명 사망(서울=연합뉴스) 김병규 기자=계속되는 찜통더위에 올해 열사병, 일사병 등 더윗병으로 응급실에 간 사람이 2천명을 넘어섰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패럴림픽 D-5] ①다시 시작하는 12일간의 축제…아름다운 도전은 계속된다[※ 편집자주=2024 파리 패럴림픽(장애인올림픽)이 현지시간으로 오는 28일 개막합니다. 닷새 앞으로 다가온 이번 대회 예고와 주목할 선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