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의회 개원 후 한국 기업 투자 지역 상원의원 중 반도체과학법(칩스법) 찬성 인사들이 트럼프 정부 출범과 더불어 권력에서 멀어지는 상황이 발생했다. 한국 기업의 미국 투자 유도에 중요한 역할을 한 이들 상원의원들의 위상이 하락하면서 한국 기업의 미국의 정치적 환경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국 의회가 3일 개원한 가운데 한국 기업 들이 투자를 결정한 미국의 지역구 상원의원 중 반도체과학법( 칩스법 )에 찬성했던 인사들이 트럼프 정부 출범을 앞두고 권력에서 멀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가 5일 현지 컨설턴트의 자문을 받아 인플레이션 감축법( IRA )과 칩스법 표결 결과를 분석한 결과다. 반도체 등 공급망과 관련된 분야의 미국 내 투자에 대한 보조금을 지급하는 칩스법 은 미국에서 생산된 전기차에 보조금을 주는 IRA 와 함께 한국의 대미(對美) 투자를 가능하게 한 법이지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부정적 입장을 밝혀왔다. 트럼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한국 기업 의 투자를 받은 곳의 공화당 상원의원 가운데 약 절반이 칩스법 에 찬성했다. 당시 공화당이 내세웠던 ‘반대 당론’에 반대한 이탈표였다. “한국기업 진출한 곳 의원들 우군 삼아, 트럼프 키맨 공략을” 그런데 이들 중 상당수가 현재 ‘트럼프의 눈 밖에 났다’는 평가를 받게 됐다.
동시에 한국 기업이 투자한 지역엔 트럼프를 추종하는 강경파가 대거 입성한 것으로 분석됐다. 트럼프 정부 출범을 앞두고 한국 기업들의 부담이 가중될 거란 우려가 나온다. 중앙일보가 입수한 산업통상자원부의 ‘주요 대미 투자 현황’에 따르면 한국의 주요 대미 투자기업 16개는 미국 20개 주(州) 24곳에 생산시설을 두고 있거나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 이들은 2022년 IRA와 칩스법이 통과된 뒤 544억 달러(약 80조원)의 투자를 결정했다. 1985년 이후 총투자액 977억 달러(약 143조원)의 55.7%가 지난 2년 사이에 결정됐다. 김영옥 기자 한국 기업이 투자한 지역구의 상원의원 40명 중 15명이 공화당 소속이다. 이들 중 13명이 칩스법 표결에 참여했고, 6명이 찬성표를 던졌다. 비율로는 46.1%에 달한다. 공화당 전체에서 나온 찬성 비율 32%를 훌쩍 뛰어넘는 수치다. 미국 정치를 분석해온 장성관 컨설턴트는 “한국 기업을 유치한 곳의 상원의원들이 눈에 띄게 찬성 투표에 가담한 것은 지역구에서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한국 기업의 역할을 의식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그런데 이들 중 5명이 주류에서 밀려났거나, 예상과 달리 각료에 기용되지 못했다. 역대 최장수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를 지낸 미치 매코널(켄터키) 의원은 트럼프와 내내 맞선 끝에 지도부에서 물러났다. 민주당과 칩스법안을 공동 작성했던 존 코닌(텍사스) 의원은 당내 원내대표 경선에서 패했다. 토드 영(인디애나) 상원의원은 대선 과정에서 반 트럼프 행보를 보였고 빌 캐시디(루이지애나) 상원의원은 트럼프 탄핵 심판 당시 찬성파로 불린다. LG전자·SK온·한국타이어 등 다수 기업이 위치한 테네시의 빌 해거티 상원의원의 경우 상무장관 후보로 거론됐지만, 트럼프는 그의 이름을 호명하지 않았다. 다만 그는 여전히 트럼프의 핵심 인사로 분류된다. 한국에 우호적이던 민주당 의원 일부도 트럼프 측근들에게 패했다. LG에너지솔루션이 투자한 오하이오와 SK팜테코가 위치한 펜실베이니아에선 공화당 버니 모레노와 데이비드 매코믹이 각각 민주당 현직을 꺾었다. 두 사람은 트럼프의 강한 지지를 받는 사업가 출신이다. 스테판 슈미트 아이오와주립대 명예교수는 “트럼프의 정책을 강하게 추진할 강경파는 당장은 한국에 악재”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도 “상원의원은 지역구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삼기 때문에 트럼프와 지역구의 이해관계를 놓고 맞설 수 있다”며 “한국은 이들을 통해 트럼프에게 영향을 끼치는 방안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실제 상원뿐 아니라 한국 기업이 위치한 지역 하원에도 트럼프 ‘키맨’들이 다수 배치돼 있다. 마크 터너(오하이오) 하원의원은 정보를 다루는 정보위원장이다. 그는 한국 기업의 투자를 받은 곳의 공화당 하원의원 중 유일하게 칩스법에 찬성했다. 또 칩스법 유지를 주장해온 브렛 거스리(켄터키) 하원의원은 에너지·상무위원장이 됐고, 마크 그린(테네시) 의원은 트럼프의 핵심 의제인 이민 문제를 다루는 하원 국토교통위원장이다. 기업들은 자체적으로 공화당 의원 공략에 나섰다
미국 투자 칩스법 트럼프 정부 한국 기업 상원의원 정치 환경 IRA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수출기업들 “미국 관세보다 중국 저가 공격·기술 추격이 더 무섭다”한국 수출 기업 상당수는 내년 수출 여건 관련해 미국 관세정책보다 중국의 저가 상품과 기술 추격이 더 위협적이라고 꼽았다. 기업 3곳 중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투자 배제된 한국 기업 50% 증가, 무기·기후·환경 이유온실가스 대량 배출, 화석연료 투자, 무기 생산 등으로 금융기관의 투자가 배제된 한국 기업이 지난 1년 동안 50% 이상 증가했습니다. 금융 배제 추적기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223개 기업이 금융기관 투자에서 배제되었으며, 이는 전년 대비 78개 증가한 수치입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트럼프 2기, 블랙스완에 빗대는 한국 경제 위기에 '기업 네트워크' 활용 핵심트럼프 2기 정부의 취임과 불법 이민자·펜타닐·파나마운하 등 비경제적 목적을 위한 관세 부과는 한국 경제에 블랙스완에 비견될 만큼 큰 위협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국 기업들은 트럼프 인맥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영향력을 미쳐 협상력을 높여야 할 것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머니랩 라운드테이블, 삼성전자 '저가 매수' 옳을까?국내 투자 전문가들이 어려운 한국 증시 속 삼성전자 투자 기회를 찾아본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머니랩, 골드만삭스 분석에 따른 AI 투자 3단계 기업, 소프트웨어 붐 어떻게 이어질까머니랩은 골드만삭스의 AI 투자 사이클 분석을 바탕으로 AI 투자의 다음 동심원이 소프트웨어 분야로 옮겨가고 있음을 전망하며, 내년 투자 기업 및 투자 전략에 대해 알려줍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미 경제계, 美 진출 한국기업 안정성 촉구…'정책 일관돼야'(서울=연합뉴스) 홍규빈 기자=한미 경제계가 미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의 생산, 고용, 기술 혁신 등 기업 활동의 안정성을 보장해달라고 양국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