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이후 주식과 비트코인 등 대체투자자산 가격의 급등과 급락으로 불안감이 커지며,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으로 정기예금과 적금에 자금을 분산하고 있습니다.
2월 정기예금 잔액이 직전월 말 대비 15조 4000억원 넘게 증가하는 등 안전자산 에 수요가 쏠리고 있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이후 주식과 비트코인 등 대체투자자산의 가격 급등과 급락이 반복되면서 불안감을 느낀 투자자들이 수익률은 낮아도 안전한 은행 정기예금 과 적금 등에 자금을 분산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2월 1일부터 27일까지 5대 시중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직전월 말 대비 15조 4000억원 늘어났습니다. 금리 인하 시기에 정기예금 과 적금 상품에 대한 선호도는 일반적으로 낮지만, 현재는 불안한 투자 환경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트럼프 당선 이후 가격이 폭등하며 지난 1월 10만 달러를 넘었던 비트코인 은 한 달여 만에 8만 달러까지 하락했습니다. 금값 역시 연초 2669달러에서 2월 24일에는 2963.2달러로 11.0% 상승했지만, 이후 급락을 거듭하며 28일에는 2848.5달러까지 내려가 연초 대비 상승률이 6.7%로 조정되었습니다.
이러한 극심한 가격 변동은 투자자들에게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여 안전자산인 정기예금과 적금에 자금을 분산 투자하게 했습니다. 실제로 5대 시중은행의 요구불예금과 수시입출금식 예금(MMDA) 잔액은 2월 들어 급증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수신 시장의 불안정한 모습을 보여주는 가운데, 2월 들어 잠잠했던 가계대출이 다시 증가하고 있습니다.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2월 들어 27일까지 2조 6194억원이 증가하여 736조 2772억원을 기록했습니다. 금융당국은 5대 은행 외 시중은행과 제2금융권까지 합치면 2월 한 달 동안 가계대출이 5조원 가까이 증가했다고 보고했습니다. 기준금리가 낮아지고, 서울 강남권을 중심으로 부동산 가격이 심상치 않은 상황 속에서 다시 가계대출 대란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5일 부동산시장 점검회의를 열고, 금융당국도 다주택자의 신규 주택 구입 목적 주택담보대출 제한 등 조치를 검토 중입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美국채 올라타자'… 강남 큰손, 한달새 1조 쓸어담아관세전쟁에 안전자산 인기초장기채 위주로 수요 몰려100억원 투자한 슈퍼리치도30년물 年수익률 7% 넘어투자자들 '장기전으로 접근향후 자녀에게 증여도 고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급제동 걸린 원·달러 환율, 조만간 반전 이룬다는데달러약세, 트럼프 관세 지연·엔화강세 등 영향 안전자산 수요 확대…원·달러 하락폭 제한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AI 열풍이 겨우 살렸다”…꺼져가던 국내 벤처투자, 3년 만에 반등했다는데2024년 투자 규모 11조9000억 ICT 38% 늘며 투자 성장 견인 官비중높아 민간 회복이 과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트럼프 2기, 한국 투자자의 새로운 기회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으로 인한 경제 불안감 속에서도 머니랩이 트럼프 2기 시대의 투자 기회를 찾아볼 수 있도록 새로운 투자 전략을 제시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손만 대면 망가진다[이충재의 인사이트] 대왕고래 프로젝트·부산엑스포·의대증원 등 실패 사례 수두룩...체코 원전 본계약도 불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조폐공사, 사상 첫 금 공급 중단…은행 판매 일부 중단 '품귀 현상'트럼프 '관세전쟁' 탓 안전자산 선호 심리 폭발…금값 최고치 행진 국내 판매가 1g당 16만원 턱밑…전문가들 “고공행진 장기화 전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