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 전문가 확보는커녕 '기존 업무의 연속성 유지하기도 버겁다'는 우려가 적지 않습니다.
북한학과 지원자도 감소 추세…"전문가 양성 어려워"윤석열 대통령이 '대북지원부'라고 호되게 꾸짖은 통일부가 한층 쪼그라들 참이다. 과거 정권이 바뀔 때마다 수난을 겪었는데 이번에도 어김없이 반복되는 모양새다. 좋든 싫든 북한을 상대하는 부처인데, 대북 전문가 확보는커녕"기존 업무의 연속성을 유지하기도 버겁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
통일부 구조조정의 다음 수순은 본부의 조직·인적개편이다. 앞서 3월 말 교류·협력 관련 조직을 축소하고 윤 대통령의 국정철학에 맞춰 인권·정세 조직을 확대한 것으로는 성에 차지 않는 분위기다. 현재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사무처는 폐지되고 교류협력'실'을 '국'으로 줄인 상태다. 통일부는 2000년 이후 정권에 따라 부침을 겪었다. 대북협상·정보분석·인도적 지원·인권 기능이 강약을 반복해왔다. 자연히 '전문가'를 찾기 어려워졌다. 향후 북한과 대화가 재개됐을 때 정부의 협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요인이다. 전직 통일부 고위관료는"대북협상 경험을 갖춘 실무자를 더 이상 찾기 어려운 데다 거듭된 조직 변화로 직원 누구도 과감하게 사업을 추진하지 않으려는 분위기"라며"통일부에 수혈된 5급 공무원은 최근 2년간 한 명에 그쳤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통일부 구조조정 시작? '개성재단·교류지원협회에 개선안 지시'통일부 구조조정 시작? '개성재단·교류지원협회에 개선안 지시' 통일부 남북교류지원협회 개성재단 김도균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퇴임 美외교협회장 '세계 안보 최대 위협은 미국' | 연합뉴스(워싱턴=연합뉴스) 김동현 특파원=세계 안보에 가장 큰 위험은 러시아나 중국, 기후변화나 전염병도 아닌 미국이라고 미국 외교 전문가가 지적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엎질러진 오염수 못 주워 담아'... 쓰레기통 처박힌 학교급식판'엎질러진 오염수 못 주워 담아'... 쓰레기통 처박힌 학교급식판 핵_오염수 학비노조 학교급식 윤근혁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