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톰은 한국인에게 친숙한 이름이다. 특히나 50대 이상에게는 각별하다…‘친절한 톰 아저씨’는 할리우드 스타 톰 크루즈의 한국 별명이다'
배우 톰 크루즈가 지난달 29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몰에서 열린 영화 '미션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파트 원' 레드카펫 행사에서 한국 팬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톰은 한국인에게 친숙한 이름이다. 특히나 50대 이상에게는 각별하다. 중학교 입학 후 영어교과서로 배운 초기 문장 중 하나가 ‘나는 톰이다’이었다. 소년소녀들이 반드시 읽어야 할 책처럼 여겨졌던 ‘의 오두막집’이 있기도 하다. 라는 호칭이 한국인에게 친숙한 이유이리라. 여기에 ‘친절한’이라는 형용사까지 붙으면 친근감이 더 강해진다. ‘친절한 ’는 할리우드 스타 톰 크루즈의 한국 별명이다. □ 한국인이 크루즈를 친절하다 생각할 만하다. 1994년 영화 ‘뱀파이어와의 인터뷰’ 홍보를 위해 첫 내한한 이후 지난달 28일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파트 원’으로 입국하기까지 11차례 한국을 방문했다. 할리우드 배우로는 최다 내한이다. 횟수뿐만 아니라 팬 서비스가 남다르기도 하다. 팬들 얼굴을 일일이 보며 사인해주기로 유명하다. 2013년 1월 부산 야외 행사에선 사인을 하느라 1시간 동안 고작 100m가량 움직였다. '친절한'이라는 수식이 붙고, 아저씨라 불릴 만하다.
□ 크루즈는 60대가 됐다고 하나 한물간 스타는 아니다. 여전히 할리우드 정상급 배우 대우를 받는다. 1편당 출연료는 3,000만 달러로 알려졌다. 흥행에 따라 더 많은 돈을 가져간다. ‘탑건: 매버릭’으로는 1억 달러를 벌어들인 것으로 추산된다. ‘탑건: 매버릭’은 한국 극장가에서 819만 명을 모았다. 크루즈 출연작 중 역대 최다 관객이었다. 미국 언론은 크루즈를 ‘라스트 무비 스타’라 칭한다. 고전적인 ‘영화배우’ 풍모를 여전히 지닌 유일한 배우라는 의미에서다. □ 올해 내한은 행사장 밖 모습 때문에 더욱 눈길을 끌었다. 크루즈는 입국한 날 숙소 인근 서울 방이동에서 저녁식사를 한 후 동네 주민처럼 산책을 했다. 시민들이 알아보자 다정하게 기념사진을 함께 찍었다. 크루즈는 가난한 어린 시절을 보냈고, 고교 졸업 후 여러 아르바이트를 전전했다. 음식점에서 일했고, 남의 집 앞 눈을 치워 돈을 벌기도 했다. 영화 관련 정규 교육을 받지 않고도 현 위치에 올랐다. 힘겹게 보낸 시간이 ‘’를 만들었는지 모른다. 기사저장 댓글 쓰기 이 기사와 관련된 기사 지평선 구독하기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당신이 관심 있을만한 이슈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구의원의 군복무'국민을 대표하는 의회에는 군복무, 출산, 그 이상의 전례 없던 일들이 일어날 것이고 일어나야 한다. 그동안 의회에 다양성이 부족했다는 사실이 진짜 문제였을 뿐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탕평론과 야당대표 방탄국회는 27일 야당 대표 체포동의안을 처리한다. 남계는 말했다. “현자는 나오게 하고, 그렇지 못한 자는 반드시 물러나게 하여 고르고 밝은 이치를 밝혀야 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베트남전과 채명신의 경고게릴라전에 관한 국내 최고 전문가가 처음엔 파병을 반대했던 대로 세계 최강 미군도 베트남전 승리를 거두지 못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경찰 실패' 34년 만의 사과정부가 책임 모면에 급급해 유족들에게 한을 남기고 너무 늦게 사과하는 일이 없기를 바란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치인을 대체할 AI의 등장'영국 재무장관이 첨단기술 정책 관련 연설문을 작성하면서 인공지능 챗봇인 ‘챗GPT’(ChatGPT)의 도움을 받았다고 밝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